제조업에 정보통신기술 적용
대전 100개·충남 40개 참여
예산 산발적… 실효성 떨어져
스마트공장-중소기업중앙회.jpg
제조업 현장에 정보통신기술을 적용한 ‘스마트공장’의 보급을 위해 정부가 예산을 투자하고 있지만 현장에서는 다소 냉소적인 반응이 나온다.

중소 제조업체 등이 스마트공장 구축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기회지만 턱없이 부족한 예산 규모로 인해 허울뿐인 스마트공장만이 확산될 것이란 주장이다.

16일 중소기업중앙회에 따르면 최근 중기중앙회가 추진 중인 ‘대·중소기업 상생형 스마트공장’ 구축사업에 대전 100개, 충남 40개 업체가 참여 의사를 밝혔다. 전국적으로는 약 2000개의 업체가 사업신청을 하며 목표대비 3배의 참여율을 보였다.

상생형 스마트공장은 참여기업들에게 150명 규모의 현직 삼성전자 제조현장혁신활동 멘토단이 투입돼 대기업이 축적한 기술·노하우 전수 등의 기대감이 반영되고 있다. 여기에 민간 주도 사업으로 중소벤처기업부와 삼성전자가 각각 100억원을 투입해 500개 기업에 스마트공장 구축을 도울뿐만 아니라 지자체도 비용의 10%를 지원해 업체의 부담감을 해소시켰다는 게 중기중앙회의 설명이다.

정부 주도의 설립 지원 사업도 진행 중이다. 중기부는 올해 스마트공장 설립을 원하는 2200개 업체를 지원하며 신규 구축에는 5000만원, 고도화 대상 업체에는 1억원까지 예산이 지원된다.

이처럼 중소 제조업체 등의 경쟁력 강화 방안으로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지만 제조업 현장의 분위기는 다소 상반된다. 대상 업체가 많다보니 예산이 산발적으로 분산되면서 실효성이 떨어질 것이란 이유에서다.

지역 제조업계는 업체 규모 등에 따라 스마트공장 구축을 위한 비용으로 최소 80억~최대 200억원까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지역의 A 기업 관계자는 “스마트공장의 선행가동을 위해선 기초단계나 소프트웨어적인 지원보다는 하드웨어 설비 지원이 더 중요하지만 현재 지원 수준으로는 턱없이 부족하다”며 “단순히 스마트공장 확산에 집중해 허울뿐인 스마트공장을 퍼뜨리기 보다는 확실한 효과를 내놓을 수 있는 업체를 선별, 집중 투자해 자연스러운 스마트공장 확산풍을 만드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고 지적했다.

스마트공장 구축과 함께 이를 운영할 수 있는 전문인력 양성에 대한 집중투자 역시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지역 제조업계의 한 관계자는 “스마트공장 수요기업 가운데 중소규모 업체의 경우 스마트공장 운영인력과 고도화 단계 지원을 위한 전문인력이 전무한 상태”라며 “수요기업이 어떤 시스템을 어떻게 도입할지 등의 고민을 해결하고 고도화 운영을 정착시킬 인력 양성에도 예산 투입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인희 기자 leeih5700@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