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간 1371명…대학소속 최다, 윤리의식 높일 평가 제도 필요

국내 일부 연구자들이 부실학회에 논문을 내고 연구실적을 인정받아온 사실이 드러나면서 연구 윤리문제가 도마위에 올랐다.

고의적인 행위에 대한 엄중 처벌도 필요하지만, 연구자 스스로 윤리의식을 높일 수 있는 자정노력이 선행돼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2일 부실학회로 지속된 '와셋'(WASET)과 '오믹스'(Omics)에 최근 5년간 참가한 국내 연구자들이 1371명에 달한다는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이들 중 대부분이 대학(1057명) 소속 연구자였고, 정부출연연구기관(184명), 4대 과기원(76명)도 포함됐다.

문제는 부실학회에 참여한 연구자들의 소속을 보면 대학에선 서울대와 연세대가, 4대 과기원에선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가장 많았다.

이는 국내 연구 환경이 과도한 실적주의에 매몰돼 제대로 된 논문 심사 없이 돈만 받고 학술활동을 하는 부실학회 유혹에 빠져들 수밖에 없다는 것이 연구자들의 의견이다.

최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이 발표한 'KISTI 이슈 브리프’를 보면 2014년 기준 996개 출판사에서 8000여종의 허위 학술지를 발간했다.

허위 학술지 출판 논문 건수는 2010년 5만3000여건, 2014년에는 41만여건으로 폭증했다.

사실상 국내에선 제대로 된 부실학회와 저널 관리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가이드라인 제정 등 건전한 학술 출판 생태계 조성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무엇보다 연구자 스스로 연구윤리를 지켜나갈 수 있도록 평가제도 개선을 포함한 연구 현장 분위기 변화에 정부와 학계가 적극 나서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조재근 기자 jack333@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