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피싱(전화금융사기)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금융감독원이 집계한 올 상반기 보이스피싱 피해 금액은 1802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74%(764억원)나 폭증했다. 피해자 수가 2만 명을 넘어 매일 116명 꼴로 보이스피싱 피해를 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전지역에서도 매년 1000건 이상 보이스피싱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요즘 같은 세상에 무슨 보이스피싱 사기냐고 반문할지 모르나 하루 평균 피해액이 10억 원을 넘을 정도라면 놀라지 않을 수 없다.

보이스피싱 수법이 갈수록 진화하는 것에 비례해 피해도 늘어나고 있다. 대출 권유, 정부기관 사칭은 보이스피싱의 전형이다. 돈이 궁한 이들에게 저금리 대출을 알선하겠다면 누구나 솔깃할 것이다. 검찰 등 정부기관을 사칭한 수사관이 피해자의 명의가 도용당했다고 알려오면 당황부터 하게 된다. 보이스피싱 조직은 이 점을 노려 순식간에 피해자의 예금을 인출해 간다. 여러 피해자들이 '귀신에 홀린 것 같다'는 호소를 했다고 한다.

주로 나이든 노인이 보이스피싱의 표적이 되겠거니 여기겠지만 면면을 보면 나이와는 전혀 상관없음을 엿볼 수 있다. 피해자 중에는 40~50대 남성이 39.3%로 가장 많았고, 40~50대 여성이 27.9%로 뒤를 이었다. 20~30대 여성들은 정부기관 사칭 보이스피싱 피해가 많았다고 한다. 보이스피싱에는 항상 대포폰과 대포통장이 따라붙는다. 타인명의를 사용해 신원파악을 어렵게 하기 위해서다. 대포폰과 대포통장을 근절함으로써 보이스피싱 예방효과를 기할 수 있을 것이다.

고등학생까지 보이스피싱 범죄에 가담하고 있다니 여간 걱정이 아니다. 목돈을 손쉽게 벌 수 있다는 그릇된 욕심이 화근이다. 최근 대전, 청주 등을 돌며 보이스피싱에 속은 피해자들의 돈을 인출해 중국 조직원에게 송금한 고등학생 2명이 경찰에 입건되기도 했다. 평소 보이스피싱 범죄 수법을 숙지해놓는 것도 피해방지의 한 방법이다. 보이스피싱 조직은 끝까지 추적해 엄벌해야 함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