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근린·주거지원 등 3곳 선정, 주차장 등 주거환경개선에 초점
도시경쟁력 회복 사업은 전무, 원도심 유동인구 유입 등 의문시

슬라이드뉴스1-재개발.jpg
▲ 사진 = 충청투데이 DB
대전지역 도시재생뉴딜사업이 ‘원도심-신도심’의 격차를 줄일 수 있는 신호탄으로 작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그간 자치구별 개발호재들로도 '원-신도심'간 좁혀지지 않는 대전지역의 특성을 감안했을 때 과연 도시재생뉴딜사업이 유동인구를 밀집시키고 침체된 원도심에 활력을 불러일으킬 수 있을지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 31일 정부는 정부서울청사에서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제13차 도시재생특별위원회'를 열고 2018년도 도시재생 뉴딜사업 선정안을 의결했다. 대전지역은 대덕구 오정동은 '북적북적 오정&한남청춘스트리트’프로젝트인 일반근린형 사업이, 서구 도마동은 '도란도란 행복이 꽃피는 도솔마을'(주거지지원형), 동구 대동은 '하늘을 담은 행복예술촌…골목이 주는 위로'(우리동네살리기) 등 3곳이 선정됐다.

이번 대전지역 도시재생뉴딜 사업으로 선정(일반근린형·주거지지원형·우리동네살리기)된 사업지는 주차장과 도서관 등 공용시설 건립 및 소규모 정비사업을 벌이며 주거 환경개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하지만 쇠퇴한 산업기능을 회복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통해 일자리를 창출하고 도시경쟁력을 회복하려는 취지를 담고 있는 ‘중심시가지형’과 ‘경제기반형’ 사업은 한 곳도 포함돼 있지 않다.

그간 대전지역은 각종 생활편의, 문화등 공공인프라 시설이 ‘서구·유성구’를 중심으로 몰리며 ‘중구·동구·대덕구’와의 유동인구 차이를 보이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인구가 몰리는 신도심에 각종 개발호재가 집중되면서 부동산 시장도 들썩이고 있어 ‘원도심-구도심’간 격차가 벌어지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는 것이다.

이번 도시재생뉴딜사업 또한 낙후된 동네를 ‘문화·예술 공간’으로 탈바꿈하겠다는 의도만 깔려있을 뿐 인구를 유입시킬 수 있는 결정적인 요소들이 존재하지 않고 있다.

상황이 이러하자 일각에서는 정부의 야심찬 정책이 향후 수포로 돌아갈 수도 있다는 부정적인 목소리를 내비치고 있다.

대전지역의 새로운 트랜드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도시재생사업과 맞물릴 수 있는 개발들이 도시재생뉴딜사업과 합쳐져야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의견도 제시된다.

지역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정부는 지역의 인구 감소와 고령화 현상의 가속화에 따른 도시소멸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지역에 사업지를 대폭 확대하며 도시재생뉴딜사업을 펼쳤지만 맥을 잘 못 짚은 것 같은 아쉬움을 낳고 있다”며 “재개발·재건축 등 도시정비사업을 중심으로 대전역세권 개발 등으로 원도심에 수많은 인구가 밀집할 수 있는 정책이 뒷바침 하는 것이 실효성 측면에서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정우 기자 wooloosa@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