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우리나라가 '고령사회' 진입을 확정했다는 소식이다. 전체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14%를 넘으면 고령사회로 분류된다. 통계청은 지난해 11월 1일 기준 우리나라 총인구는 5142만명으로 이중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711만5000명(14.2%)에 달해 고령사회 진입이 확정됐다고 밝혔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가 세계적으로 유례없이 빠르다는 사실이다. 우리나라는 지난 2000년 고령화사회(전체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7%이상)로 들어선 지 17만에 고령사회로 들어섰다.

고령화 속도가 빠른 일본도 고령화사회(1970년)에서 고령사회(1994년)로 진입하는데 24년이나 걸렸다. 프랑스는 100년, 미국은 70년, 독일은 40년 이상이 걸렸다고 한다. 지금과 같은 추세라면 우리나라가 초고령사회(전체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이상)로 진입할 날도 멀지 않았다. 출산율은 세계 최저수준인데다 고령화 속도가 빨라지면서 사상 첫 생산연령인구 감소라는 난관에 봉착했다. 15~64세 생산연령인구가 3619만6000여명으로 전년보다 11만6000명이나 감소한 것이다.

유소년층 인구 대비 노년층 인구를 일컫는 노령화지수가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충남의 노령화지수는 121.8, 충북은 118.6으로 전국 평균 107.3을 웃돈다. 기초지자체로 가면 충남 청양군 414.7, 충북 괴산군 447.4 등으로 격차가 더 벌어진다. 인구의 고령화로 여러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먼저 노동력 부족현상을 꼽을 수 있다. 노동력부족은 경제성장 둔화로 직결된다. 노인부양 부담 증가는 가족, 나아가 사회의 갈등을 야기하기 십상이다.

고령사회에 철저히 대비하지 않으면 안 된다. 출산율부터 제고해야 한다.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 1.05명으로 세계 최저수준이다. 출산율을 끌어올리지 않고 경제성장을 논할 수 없다. 노인 일자리 제공 등 복지확충이 긴요하다. 빈곤·질병·고독으로 대표되는 3대 고통에 시달리는 노인들이 꽤 많다. 노인 10명 중 2명은 돈이 없어 병원도 가지 못한다는 보고도 있다. 사회안전망을 확충해야하는 이유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