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대생의 취업 설움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사회적 편견과 되풀이 되는 취업 현장에서의 차별은 졸업생은 물론이거니와 지역대학 역할과 기능을 약하게 만들고 지역균형발전까지 저해시킨다. 대학사회는 학령인구 급감이라는 시한폭탄을 안고 갈수록 쇄약해지고 있다. 이런 어려움 속에 지역대학들이 옛 위상을 되찾기 위해선 그 어느 때보다도 정부의 정책방향이 중요하다.

그러나 이번 2주기 대학 구조조정에서 많은 이들의 우려가 결국 현실이 됐다. 대학들의 ‘목숨 줄’이나 다름없는 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 최종 결과 지역대학의 자율개선대학 비율은 62.5%로 집계됐다. 특히 충청권의 경우는 극본 없는 드라마가 따로 없었다. 배재대와 우송대는 벼랑 끝에서 가까스로 목숨을 부지하게 됐고, 등급이 하향된 목원대는 가혹한 희망고문으로 뼈아픈 엔딩을 보여줬다. 수도권 분위기는 화창했다. 수도권 대학의 자율개선대학 비율은 87.9%로 무려 지역보다 25.4p%나 높았다.

지역의 우수대학을 집중 육성해 지방 공동화를 해결해야 할 정부가 오히려 ‘지역대 죽이기’에 앞장서고 있는 꼴이다. 물론 그간 우후죽순 너나 할 것 없이 대학 간판 문을 열어왔던 사학재단들의 어쩌면 당연한 수순일 지도 모른다. 썩은 아니면 아직도 썩고 있는 사학비리를 청산하고 도태되는 부실대학들의 꼬리는 과감히 잘려야 하는 것이 마땅하다.

그러나 그 과정은 공정하고 합리적이며 투명해야 할 것이다. 이번 구조조정 역시 뭇매를 피할 수 없는 이유도 같은 맥락이다. 지방공동화를 해결하기 위해선 수도권에 집중된 대규모 대학정원을 대폭 감축시켜야 함에도 실상은 지역의 중·소규모 대학에 칼날이 집중됐다. 또 지역대의 특수성과 역할을 간과함과 동시에 수도권 중심의 대학교육이라는 고착화된 패러다임을 여전히 탈피하지 못한 채 지난 1주기 구조조정의 폐해를 답습했다.

지역대가 무너지면 지역사회 또한 붕괴된다. 지역대 정원감축이 불러올 다양한 후유증은 고려하지 않은 채 발표된 이번 진단평과 결과는 쓰디 쓰기만 하다.

최윤서·대전본사 교육문화부 cy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