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H2018062019930001300_P2.jpg
▲ ⓒ연합뉴스
급격한 학령인구 감소로 대학의 1/3정도가 문을 닫을 것이라는 비관적인 전망도 나온다. 1980년 이후 이른바 준칙주의에 의거 교육부가 마구잡이 대학 신설을 허가했던 부메랑이 이미 시작된 셈이다. 일차적인 책임은 대학 진학 열기 속에서 미래 비전 없이 대학을 운영하겠다고 신청한 각 대학에게 물어야겠지만 머지않은 장래의 사회 변화 상황과 인구 추세를 감안하지 않고 대학 정원을 늘인 교육 당국에게도 그에 못지않은 책임이 있을 것이다.

저출산에 따라 학생 수가 줄고 있고 취향과 적성에 따라 진로를 선택하여 일찌감치 사회진출을 노크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대학 진학 열기가 주춤한 사이 대학들의 경쟁은 날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자의, 타의에 의한 정원감축과 학과 통·폐합은 물론이고 높은 물가고에도 불구하고 등록금은 이미 오래 전에 동결되었다. 재정·행정 지원과 제재라는 양칼을 움켜진 교육부의 판단도 작용하겠지만 이미 교육수요자인 학생과 학부모의 예리한 판단과 선택에 의한 대학 적자생존의 구도가 펼쳐졌다. 양심적이고 성실하게 학생 제일을 추구하는 대학은 살아남을 것이고 허황된 홍보와 이미지 포장으로 지탱하던 부실 대학들의 도태 역시 가속도가 붙을 것이다. 국·공립 대학이 그간 누려온 혜택과 잇점도 상당부분 소멸하여 그야말로 건곤일척 적자생존의 냉엄한 승부가 펼쳐질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규모가 큰 공기업이 회사이름을 딴 공과대학을 설립한다는 소식은 우리나라 대학의 실상을 제대로 알지 못하는 무지의 소치인지, 기업의 힘을 믿고 특혜를 더 누리려는 오만한 이기심의 발로인지 반대 여론이 높다. 기업이 원하는 인재상이 있다면 대학 설립과 운영에 소요될 예산을 설립 예정지역의 대학이나 건실한 기존 대학의 공과대학 해당 분야 전공학과에 지원하는 것이 공기업의 도리이며 미래지향적인 산학 협력의 모범이 되기 때문이다. 해당 공기업의 임·직원 자녀 입학 특혜와 등록금 감면, 현직퇴직 임직원의 교수 직원 임용, 졸업생의 특채 같이 국민들이 우려하는 폐해는 차치하고라도 대학이 속속 문을 닫을 마당에 대표적인 공기업의 대학 설립 움직임은 국민정서와는 한참 멀리 떨어져 있는 듯 싶다. <한남대 프랑스어문학 전공교수·문학평론가>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