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도(大道)란 노자(老子)가 제1장에서 ‘무릇 이것이 도(道)라고 정의하고 있는 도는 절대적인 영원한 도(道)가 아니다(도가도비상도:道可道非常道)’라고 하는 상도(常道)를 말한다. 노자(老子)에 의하면 영원한 도는 자연의 원리 내지는 자연 그대로를 이르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인간이 자기들의 행위에 대해서 이것이 옳다 그르다 하고 도덕적인 가치 판단을 해 그 가치판단에 사로잡히는 것은 영원한 도에 위배되고 자연의 법칙에 위배되는 곳이다. 그러므로 인의(仁義)라는 가치 판단이 사람들 입에서 특히 강하게 주장될 때 그것은 인간이 영원의 도를 망각하고 혹은 스스로 포기해 버릴 때다.

인간은 ‘대도(大道)가 망했다’하고 자기의 생각으로 만들어 낸 도덕적 가치에 따라 남을 재판하고, 세상을 재판하려고 한다. 인간에게 인(仁)이나 의(義)를 강요하거나 혹은 도덕적으로 교육하려고 하거나 또 도덕적으로 남을 재판하려고 하는 사상이나 행동은 전부 인간 본래의 자연을 스스로의 손으로 파괴하는 데 지나지 않는다.

이 관계를 노자(老子)는 대도(大道)가 무너지자 인의가 있다고 역설적인 말로 표현했다. 확실한 인간과 인간의 역사가 간혹 연출하는 부자연한 생각을 지적한 점에서 이 말은 진리다. “문명이 발전하면서 자연의 질서가 파괴되고 도덕과 가치 또는 규범과 강제가 생겨나게 되었다. 다시 말해 참다운 질서가 상실되면서 거짓된 가치가 늘어났다”고 노자구(老子句)에 말하듯 모든 일들은 한 가지가 장점으로 나타나면 다른 면은 단점이 나타나는 일들이 연이어 일어나므로 우리는 항시 장점을 행하면서 단점을 어떻게 극복할 수 있는지 살피지 않으면 발전된 만큼 효과를 거두지 못한다. <국전서예초대작가·청곡서실운영·前대전둔산초교장>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