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S·국제공동연구진 논문 네이처 게재…"엘니뇨 연구 새로운 이정표"

▲ [부산대 기후과학연구소 제공=연합뉴스]
▲ [부산대 기후과학연구소 제공=연합뉴스]
▲ [부산대 기후과학연구소 제공=연합뉴스]
▲ [부산대 기후과학연구소 제공=연합뉴스]
▲ 엘니뇨 현상의 메커니즘을 설명하는 부산대 기후물리연구단 악셀 팀머만 교수 [부산대 제공=연합뉴스]
▲ 엘니뇨 현상의 메커니즘을 설명하는 부산대 기후물리연구단 악셀 팀머만 교수 [부산대 제공=연합뉴스]
"기상이변 유발 다양한 엘니뇨 발생 메커니즘 첫 규명"

IBS·국제공동연구진 논문 네이처 게재…"엘니뇨 연구 새로운 이정표"

(부산=연합뉴스) 이종민 기자 = 폭염과 강추위 등 세계 기상이변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지목돼온 엘니뇨 현상의 발생 메커니즘을 처음으로 규명한 연구성과가 나와 주목된다.

기초과학연구원(IBS) 기후물리연구단(단장 악셀 팀머만 부산대 석학교수)은 동태평양(EP) 엘니뇨와 중태평양(CP) 엘니뇨의 상호작용에 따라 매번 다른 형태의 다양한 엘니뇨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수학적으로 규명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연구에는 부산대 기후물리연구단과 11개국 40여 명의 전문가가 참여했다.

국제공동 연구진은 다양한 기후 관측자료, 이론 모델, 시뮬레이션 등 통합적 연구로 해양과 대기의 결합 조건에 따라 동태평양 엘니뇨와 중태평양 엘니뇨가 다양하게 발생하는 메커니즘을 발견했다.

엘니뇨는 매번 발생할 때마다 제각기 다른 모습을 보이기 때문에 예측하기 어려웠다.

지금까지 알려진 것은 동태평양 엘니뇨는 대략 평균 3∼8년 주기로, 중태평양 엘니뇨는 2∼3년 주기로 각각 발생하는 정도였다.

이 주기도 동태평양의 온도 측정 자료를 보면 주기성을 가지는 것처럼 보였으나 실제로는 매우 불규칙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과 주기를 달리해 다양한 엘니뇨가 발생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았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에서 엘니뇨 특성의 다양성, 영향, 예측성을 어느 정도 설명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발견했다.

동태평양 엘니뇨는 적도 해양 상층에 열이 많이 저장될 때 발생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반면에 중태평양 엘니뇨는 해양 상층이 상대적으로 덜 따뜻하고 열이 적게 저장될 때 주로 발생하는 것을 알아냈다.

여기에다 동태평양, 중태평양 엘니뇨는 각자 독립적인 환경에서 발생하지만 서로 상호 결합하면서 다양하고 복잡한 엘니뇨를 만들어낸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진은 이를 서로 다른 주기를 가진 두 개의 진자운동(고정된 한 점에서 일정한 주기로 진동하는 운동)으로 설명하고 수학적으로 모델링했다.

서로 다른 주기를 가진 두 개의 진자처럼 적도의 대기와 해양의 다양한 결합에 의해 만들어진 두 극단(동태평양 엘니뇨, 중태평양 엘니뇨)이 진동하며 다양하게 결합하면서 광범위한 스펙트럼의 엘니뇨를 발생시킨다는 것이다.

이번 연구는 기상이변의 주원인으로 지목되는 엘니뇨의 발생과 원인을 규명하는데 새로운 이정표를 세운 것으로 평가된다.

국제공동 연구진에서 지구시스템 예측성 프로젝트 리더를 맡았던 이준이 부산대 기후과학연구소 조교수는 "이번 연구 성과는 엘니뇨 발생의 다양한 조합을 수학적으로 설명하고 재현할 수 있게 됐다는 점"이라며 "연구가 진척되면 엘니뇨 발생 시기와 규모를 미리 예측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를 총괄한 악셀 팀머만 단장은 "엘니뇨의 공간, 시간적 다양성을 동시에 설명할 수 있는 통합이론 모델을 개발하고자 이 연구를 시작했다"며 "예측 기술이 향상되면 엘니뇨가 발생하면 어떤 지역에, 어떤 이상기후를 겪게 될지 더 잘 알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연구 결과는 세계적 학술지 네이처 26일 자 온라인판에 게재된다.

ljm703@yna.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