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창조경제혁신센터가 유지된다. 박근혜 정부 당시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함께 상생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만들어졌던 센터다. 충북에서는 LG, 대전은 SK, 충남은 한화가 각각 맡았다. LG는 지난해까지 충북에서 370여 건의 특허를 이전하고 매년 재정적 지원도 펼치고 있다.

그럼에도 충북창조경제혁신센터는 '계륵(鷄肋)'으로 평가받고 있다. 막대한 예산이 투입됐기에 발을 빼지도 깊게 넣지도 못 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올해만 해도 국비 23억원, 도비 10억원이라는 막대한 혈세가 혁신센터로 흘러 들어갔다.

하지만 가시적인 성과는 없다. 스타트업, 팁스 등 성공적인 기업성장·투자책을 무기로 삼고 있음에도 여전히 성장과정이다. 매년 100억원 가량의 예산을 사용하는 센터의 변명치고는 단촐하다. 오히려 성과부풀리기에 힘쓰다 감사원에게 적발되는 수모를 겪기도 했다.

이에 문재인 정부가 들어서며 대대적인 변화가 예고됐다. 테크노파크와 성격이 비슷하다보니 명칭·업무를 바꿔 특색있는 발전을 도모하겠다는 것으로 보였다. 실상은 명칭 유지, 방식의 변화 등 소극적인 변화로 막을 내렸다. 창조경제라는 박 정부의 프렌차이즈를 새마을운동과 비슷한 개념으로 본다는 것이 정부의 설명이다.

항상 준비단계, 성장과정이였던 창조경제혁신센터가 다시 한번 변화에 대한 숨고르기에 들어가야하는 셈이다.

충북도, LG 등이 창조경제혁신센터와 함께 마련해놓은 1500억원의 펀드는 이르면 내년부터 수익이 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펀드 수익을 보는 시선은 곱지 않다. 기업의 성장세가 명확한지 않을뿐더러 밑빠진 독에 물 붓기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성장과정에만 매년 100억 여원. 충북창조경제혁신센터의 유지는 누구에게 의미가 있는 것일까. 관계자들만의 바람이지 않을까.

임용우·충북본사 취재부 winesky@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