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2019학년도 수학능력시험 전형일정이 발표되면서 입시생들에겐 어느 대학 어느 전공을 택할 것인가가 초미의 관심사다. 그에 따른 정보에도 민감할 수밖에 없다. 그 민감함이 어느 정도인지는 원자력 및 양자공학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외면당하고 있는 것에서도 알 수 있다. KAIST(한국과학기술원)에 의하면 올 하반기 2학년 진학 예정자 94명 가운데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전공을 선택한 학생은 단 1명도 없다고 한다.

KAIST뿐만 아니다. C대학 에너지시스템공학부 역시 올해 전공을 선택하는 2학년생들로부터 희망학과 지원을 받았는데 '원자력'분야만 미달이었다. 지방의 P대학도 원자력시스템 전공 박사과정 지망자가 처음으로 1명도 나오지 않았다고 한다. 그러자 기계공학부 내 원자력 연계 전공을 폐지하는 대학도 생겨나기 시작했다. 또 기존의 원자력과를 택했던 학생 중에는 2학년이 되면서 다른 과로 전공을 바꾸는 경우도 있다.

왜 이런 일이 벌어질까. 무엇보다 문재인 정부의 '탈(脫)원전'정책이 크게 작용한 때문으로 보인다. 원자력 발전소 폐기를 비롯해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졸업 후 일자리를 고민해야 하는 마당에 감히 원자력을 전공하겠다고 나서겠느냐는 것이다. 세계적으로 인정받아 온 우리 원자력 산업 생태계를 어떻게 유지할 수 있을지 매우 우려스럽다. 기존의 원자력 산업계에 종사하던 기술인력이 전망이 있는 곳으로 빠져 나가고 있다는 보도도 잇따르고 있어 우려를 증폭시키고 있다.

원자력업계가 중동을 비롯한 해외 원전 수주에 적극 나서고 있다. 국내 인력양성의 적신호가 켜진 가운데 어떻게 그것이 가능할지, 또한 해외에서 '탈 원전'을 하는 나라에 원자력시스템을 맡길 신뢰가 가능할지도 생각해야 한다. 한국원자력학회가 엊그제 기자회견을 열고 탈원전을 골자로 한 국가 에너지 전환 정책에 깊은 우려를 표명하고 나섰다. 한국원자력학회는 원자력 전문가 5000여명이 참여한 학술단체다. 전문가 집단의 고언을 귀담아 들을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