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공공어린이재활병원 건립을 위한 지역공모에 들어갔으나 공모 내용이 당초 설립 취지에는 크게 못 미쳐 논란을 빚고 있다. 이 프로젝트가 처음엔 대전지역공약으로 공론화됐는데도 전국 공모로 변질돼 혼선을 주고 있다. 공모 내용 또한 집중재활치료라는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기엔 부적합한 모델을 염두에 두고 있다. 장애아동들의 기대에 어긋나고 있다는 지적이다.

체계적인 로드맵에 따라 일관성 있고 치밀하게 추진했더라면 이런 일은 없었을 것이다. 올해 대전 어린이재활병원건립 설계비 8억원을 배정해놓고도 행정 절차를 원점에서부터 다시 밟는 꼴이어서 보기에도 민망하다. 집중재활치료라는 '공공성'에 토대를 두고 이를 담보·이행하기 위한 여러 관련 수단을 동원해야 하는데도 그런 고려는 뒷전으로 밀려 있다는 의구심을 사고 있다. 이러다가는 무늬만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이라는 오명을 남길 소지가 크다.

입원병상이 100개에도 미달한 규모로는 제 기능을 수행하기 버겁다. 이를 충남권, 전남권, 경남권에 30병상씩 나눠 배정한다면 그 결과는 보나마나다. 당초 병원 9개에서 3개로 축소되고 나머지 6개는 외래 중심의 센터로 바뀐다는 것이다. 이런 모델로는 중증장애아동들의 재활치료서비스를 감당하기 어렵고 응급상황에 제때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도 없다. 당초 수요 공급을 산정하는 용역결과에 한계가 있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병원 운영비 또한 적절하게 지원이 돼야 정상적으로 공공재활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위탁운영방식도 논란거리다. 의료공공성을 담보할 수 있는 대책이 수반돼야 함은 물론이다.

청와대 국민청원이 잇따르고 있고 청와대 앞에서 건우아빠로 알려진 비영리단체 토닥토닥 김동석 대표가 '공공어린이재활병원에서 공공을 살려주세요'라는 메시지를 가슴에 달고 1004배를 시작했다. 요구는 소박하다. 이름만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이 아니라 집중재활서비를 제공하고 응급시스템을 구비한 병원을 지어달라는 것이다. 장애아동 부모들의 절박한 심정을 헤아리는 게 마땅하다. 자녀 재활치료를 위해 이리저리 난민처럼 떠도는 모습을 두고만 볼 텐가.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