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우리 경제에 빨간 불이 켜졌다. 수출, 생산, 소비, 투자, 고용 모두 사정이 여의치 않다. 연일 최저치를 경신하고 있다. 대전경제 사정이라고 해서 별로 다를 게 없다. 대전의 형편은 충청권역에서도 가장 열악한 것으로 각종 통계지표상으로 확인되고 있다. 대전의 지역내총생산(GRDP)은 전국 시·도 가운데 꼴찌에서 3번째다. '과학글로벌 도시 대전의 역설'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지역 최대현안은 지역경제의 새로운 성장 동력 창출을 위한 지역역량 결집이다. 대전상공회의소가 어제 창립한 '대전경제발전위원회'를 특히 주목하는 이유다. 위원회는 지역산업계의 교류협력 강화, 지역경제 발전을 위한 전략 및 주요 정책방향 제시, 기업인·학계·공무원·연구원 상호간 기업애로 해결책 마련, 지역경제현안 해소를 위한 자문위원의 정보제공 등 다양한 방향을 제시했다. 상공회의소 본연의 설립목적에 충실한 활동이라고 평가한다.

지역경제를 회생시켜야 한다는 과제는 어제 오늘만의 일이 아니다. 대표산업을 내세울 수 없을 만큼 지역 제조업 기반이 열악하다. 취업유발계수 및 산업연관효과가 큰 제조업 분야가 그럴 지경이다. 그렇다고 서비스업과 벤처산업이 현저하게 우위에 있다고 단언하기도 힘들다. 기업 및 투자 유치를 통한 지역경제의 선순환도 필요하고, 서비스 산업의 고도화를 통한 경쟁력 확보도 병행해야 함은 물론이다. 그래야 생산-소비-투자-고용의 선순환 체제가 제대로 굴러간다.

민선 7기가 출범하면서 지역민 기대감도 한껏 높아졌다. 지역경제 지표는 곧 살기 좋은 도시인가를 판가름하는 경쟁력을 상징한다. 대한민국의 미래 먹거리를 창출하겠다는 원대한 꿈과 비전을 살려내야 한다. 지역혁신 역량을 극대화시키는 데서부터 시작해야 한다. 과학기술도시인 대전은 여건상 타도시보다 유리하다. 대전형 경제발전의 선순환 체제를 구축하려면 해야 할 일이 한둘 아니다. 지역 경제 대표단체인 대전상의에 거는 기대가 크다. 창업·기업생태계 애로사항을 타개하고 지역미래를 창출할 수 있는 정책 제안 등을 하려면 각계의 소통·협치가 성패의 관건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