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만 2조6천억…"수면산업 활성화 대책 필요"

수면장애 따른 전국 연간 생산성 손실액 11조원

경기도만 2조6천억…"수면산업 활성화 대책 필요"

(수원=연합뉴스) 김광호 기자 = 국민의 수면장애로 인해 발생하는 연간 생산성 손실액이 경기도만 2조6천여억원, 전국적으로는 11조원이 넘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28일 경기연구원 이은환 연구위원 등의 '경기도 수면산업 육성을 위한 실태조사 및 정책방안' 보고서를 보면 10세 이상 우리나라 국민의 하루 평균 수면 시간은 7시간 59분으로, OECD 국가 국민 평균 8시간 22분보다 20여분 짧았다.

이런 가운데 국내 수면장애 질환자는 2014년 75만7천여명에서 2016년 88만3천여명을 증가하는 등 매년 늘고 있다. 수면장애 질환자는 불면증, 수면무호흡증, 하지불안증후군 환자 등을 말한다.

이들의 진료비도 이 기간 934억원에서 1천178억원을 늘었다. 1인당 연간 관련 질환 진료비 역시 12만3천원에서 13만6천원으로 증가했다.

수면장애와 관련한 약국 진료비도 2014년 369억원에서 2016년 466억원으로 늘었다.

수면장애 질환자와 이들의 진료비는 인구가 가장 많은 경기도가 역시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이같은 수면장애로 생산성이 저하돼 발생하는 경제적 손실이 경기도 내에서만 연간 2조6천470억원, 전국적으로는 11조497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됐다.

특히 경기도 내 생산성 저하로 인한 경제적 손실액을 다른 분야에 투자했다고 가정하면 생산성 손실액은 5조4천여억원, 부가가치유발 손실은 2조3천여억원, 취업유발 손실은 2만3천여명에 이른다고 연구진은 분석됐다.

수면장애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커지면서 치료 및 수면 침구생산, 수면클리닉 등 수면산업이 선진국의 경우 1990년대부터 고부가가치 신성장 산업으로 급성장해 관련 시장 규모가 미국은 45조원, 중국은 38조원, 일본은 9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한국은 2010년부터서야 수면산업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현재 시장 규모가 2조원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이 연구위원 등은 중앙정부 차원에서 첨단 수면산업 육성을 위한 지원정책 및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수면산업 시장 규모가 큰 경기도에는 ▲수면산업 육성 위한 인프라 구축 ▲해외진출 및 시장 확장을 위한 신기술 경쟁력 강화 ▲신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수면산업 생태계 조성 ▲수면산업 활성화 위한 제도적 지원을 제안했다.

kwang@yna.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