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병희 충남도 농정국장

지난해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이 1.05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2017년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에 따르면 지자체 85곳이 30년 내에 사라질 수 있다고 한다. 전국 지자체의 3분의 1이 넘는 수치이다. 우리 충남도 예외일 수는 없다. 천안과 아산, 계룡을 제외한 전 지역이 소멸 위험지역으로 분류되고 있다. ‘지역소멸’의 문제는 도시보다 농촌에서 더욱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다. 농촌인구 감소와 고령화, 후계인력의 부재 등 지역 공동화 문제는 이미 어제오늘의 이야기가 아니다. 그만큼 우리나라가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인구 감소로 지역소멸이라는 절체절명의 위기에 직면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충남도는 혼신의 힘을 다하고 있다. 그동안의 공간중심 마을 만들기를 사람과 공동체 중심으로 확대하고, ‘생산’과 ‘정주’, ‘여가’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희망마을 만들기’에 매진하고 있다. 주민의 역량을 강화해 마을발전을 위한 주인의식을 높이고, 각 마을의 역량에 따라 단계별 맞춤형 마을만들기 지원을 통해 마을 공동체를 활성화하고 있다.

‘누구나 살고 싶은, 돌아오는 농촌’을 만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농촌의 전통과 생산기능을 유지하고 생활여건을 개선해야 한다. 농촌이 비어간다고 포기할 것이 아니라 ‘농촌의 다원적 가치와 역할’을 극대화시켜야 한다. 또한 ‘공동체 네트워크’를 육성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활동이 활성화될 때 우리 농촌이 ‘기회와 희망의 땅’으로 재창조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활동이 고령화가 심화된 농촌 주민 스스로의 힘만으로는 쉽지 않다. 그래서, 행정과 주민이 힘을 합쳐야 하는 이유다. 이를 위해 충남도는 다양한 주민 주도 마을 만들기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2015년부터 ‘시군 마을만들기 중간지원조직’ 구축을 시작해, 현재까지 도 및 9개 시군에 마을만들기지원센터가 운영되고 있고 추가로 4개 시군에도 설치를 추진하고 있다.

마을만들기지원센터는 마을의 자원을 조사·분석하고, 마을만들기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공유 및 학습하고 있다. 또한 주민역량 강화 등 지역민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이를 위해 행정은 정책 수립과 예산 집행, 모니터링과 행정 내 협업을 통한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 센터는 행정과 민간 사이의 ‘중간지원조직’으로서 마을 현장에 대한 밀착 지원과 공동체 네트워크 육성 등의 활동을 펼치고 있다.

현재 도 및 9개 시군 마을만들기지원센터에는 모두 49명의 청년지역인재들이 마을 만들기 지원 활동을 하고 있다. 주요 사례로 홍성군 마을만들기지원센터는 금년도 시범사업으로 ‘청년 마을조사단’을 육성하고 있다. 지역에 대한 청년들의 관심과 이해를 높이고, 마을에서 청년들이 할 수 있는 다양한 일들을 발굴하여 지역 정착 가능성을 확보하고 지역의 활력을 높이기 위한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평균 나이 26세의 젊은이들로 구성된 청년 마을조사단원은 새로운 희망을 찾기 위해 농촌을 선택했다. 고향에서 젊은이들이 일자리를 찾아 머물며, 마을을 조사하고 농촌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만으로도 농촌의 활력을 높이는 새로운 방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사례처럼 청년들이 농촌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는 기회를 넓혀간다면 ‘돌아오는 농촌’을 만드는 것이 먼 일만은 아닐 것이다. 지역에 안착 할 수 있도록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고 정주여건을 개선하는 등 더 많은 관심과 지원을 기울여 나가야 한다. 도시의 근간이라고 할 수 있는 농촌을 활성화하기 위해 다양한 주체를 양성하고, 농촌의 가치를 발굴하고 복원해야 한다. 그렇게 할 때 귀농귀촌인의 새로운 삶이 열리고, 농촌이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다시 태어날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