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충청권(대전·세종·충남·충북) 4개 시·도지사를 민주당이 두 차례나 싹쓸이한 건 지방자치 역사에서 일대 사건이다. 충청권이 영·호남처럼 거대 양당의 전통적인 텃밭이 아님에도 민주당 소속 시·도지사를 연이어 알뜰하게 선출한 의미가 뭘까. 충청의 보수 성향 자민련이 1995년 제1회 동시지방선거에서 충청권 광역단체장 3석 모두와 강원지사까지 석권한 바가 있긴 하다. 지역연고 정당이 사라진 터여서 그 때와는 상황이 판이하게 다르다.

'충청권이 전국 표심의 바로미터'라는 그간 통설은 아직도 유효하다. 충청 민심은 선거 이슈에 특히 민감하게 반응한다. 실리적인 투표 성향이 강한 까닭이다. 역대 선거에서 세종시 행정수도, 과학벨트 등 명분지향적인 주제에 충청 표심이 화끈하게 결집했다. 전략적으로 투표하는 흐름을 감지할 수 있다. 결국 선거 승패를 가르는 '캐스팅 보터'를 유감없이 발휘해온 배경이 됐다.

충청권의 경우, 6·13 지방선거에서 남북·북미정상회담이 세기적인 빅 이슈로 부상하기 이전만 해도 지방분권화 및 세종시 행정수도 명문화 개헌과 지역의 특화된 개발 이슈가 선거 향방을 좌우할 것으로 보였다. 당시 분권화와 세종시 문제가 출렁일 때마다 여론조사에도 그대로 반영되기도 했다. 그러나 자유한국당은 이에 대해 사사건건 반대만 일삼았다. 한국당은 끝내 지방선거와 동시 개헌투표 약속마저 헌신짝처럼 걷어찼다. 그러고도 사과 한마디 없었다.

지방분권화 개헌 및 국토균형발전정책은 충청권에서 여전히 살아 있는 핫 이슈다. 민선 7기에서 반드시 풀어야 할 과제다. 지방정부는 물론 지방의회까지 충청 지방권력을 통째로 민주당에 위임한 민심을 제대로 읽어야 하겠다. 한시라도 오만과 방심에 흐른다면 그 결과는 뻔해진다. 어디엔가 일당 ‘독주’를 넘어 ‘독재’를 연상하는 매서운 눈초리가 있다는 사실을 간과하지 말라. 2020년 4월 15일 제21대 총선 민심이 벌써부터 궁금해진다. 우선 충청권 민주당 시·도지사 후보들이 지난 5월 29일 공동으로 약속한 충청권 상생발전을 위한 10대 공약부터 이행의지를 가시화하는 것이 순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