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 지역별 현안·과제 조사
대전, 경제활성화·일자리 1·2위… 트램추진 19%
세종, 신·구도심 균형발전·행정수도 완성 ‘숙제’
충북, 북중남부 균형발전 31.5%… 복지예산 2위
충남, 경제·일자리 시급… 2위와 13%P 이상 차이

슬라이드뉴스2-인심체크여론조사그래프.gif

6월 13일 치러지는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는 앞으로 4년 지역 발전과 현안 과제의 실마리를 풀어나갈 지역 리더를 뽑는 선거다. 전국적으로 각 17명의 광역단체장과 교육감, 226명의 기초단체장, 824명의 광역의원, 2927명의 기초의원 등 총 4016명의 새로운 지역 리더가 선출된다. 이와 함께 12곳의 국회의원 재보궐선거도 함께 치러진다. 충청권에서도 4명의 광역단체장을 포함한 총 519명과 함께 3명의 국회의원을 뽑는다.

이번 선거가 중요한 것은 유권자들이 어떤 후보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앞으로 4년 지역의 미래가 달라질 수 있다는 데 있다. 특히 각 지역별 현안의 추진과 해결 역시 당선자들의 능력과 의지에 따라 결과는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충청투데이는 여론조사를 통해 지역민들이 빠른 해결을 바라는 충청권 4개 시·도별 현안을 짚어봤다.

◆대전

대전시민이 가장 시급하다고 생각한 지역 현안 과제는 ‘침체된 경제 활성화’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현안 과제 중 가장 시급하다고 생각하는 과제는 무엇입니까’라는 질문에 대전시민 중 가장 많은 35.3%가 ‘침체된 경제 활성화’라고 답했다. 이어 ‘청년 일자리 창출’이 22.7%로 뒤를 이었고 ‘도시철도 트램 추진’ 19.1%, ‘대전인구 대책 마련’ 9.2%, ‘장기미집행 공원 해결’ 4.2%, 기타 5.0% 순이었다. ‘잘모름’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4.5%였다.

지역 경제 활성화에 대한 기대는 대전 5개 자치구별로 신도심(서·유성구)보다 원도심(동·중·대덕구) 지역에서 더 강하게 나타났고, 연령별로는 50대의 기대가 컸다. 동구 지역 응답자 중 40.6%가 ‘침체된 경제 활성화’를 택해 대전 5개 자치구 중 유일하게 40%를 넘겼으며, 뒤를 이어 중구(39.2%)와 대덕구(38.9%)가 차지했다. 반면 유성구(29.7%)와 서구(33.3%)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또 50대 응답자 중 43.6%가 ‘침체된 경제 활성화’를 택해 다른 연령대보다 경제 활성화에 대한 기대가 컸다.

도시철도 트램에 대한 기대는 대덕구(23.1%)와 서구(20.8%)가 다른 지역보다 기대감이 높았고, ‘청년 일자리 창출’은 유성구(25.8%) 응답자가 다른 지역보다 많았다.

지지 정당별로는 보수 정당 지지층이 진보 지지층보다 지역 경제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이 높았다. 자유한국당(45.8%)과 바른미래당(36.9%) 지지층의 지역 경제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이 더불어민주당(33.0%)과 정의당(26.6%) 지지층보다 강하게 나타났다.

◆세종

세종시민은 ‘신·구도심 균형발전’과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을 차기 세종시장과 시의원들이 풀어야 할 숙제로 꼽았다. ‘지역 현안 과제 중 가장 시급하다고 생각하는 과제는 무엇입니까’라는 물음에 세종시 응답자 중 26.4%가 ‘신도심·구도심 균형발전’을 꼽았다.

또 이보다 0.2%P 적은 26.2%는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이라고 답해 충청권 전체의 현안이기도 한 행정수도 완성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냈다.

특히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과 같은 맥락의 ‘국회분원 및 청와대 집무실 설치’도 응답자 중 20.5%가 답해 조속한 추진이 필요하다는 게 공감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어 ‘중앙공원 인프라 추진’ 13.3%, ‘자치분권 도시 도약’ 5.0% 순이었다. 기타와 ‘잘모음’이라는 응답은 각각 4.7%와 3.9%를 차지했다.

하지만 세종 신도심에 속하는 동지역과 구도심에 속하는 읍·면지역의 생각은 많은 차이를 보였다. 세종 동지역은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31.7%)과 ‘국회분원 및 청와대 집무실 설치’(23.5%)에 대한 기대감이 큰 반면, 읍·면지역은 ‘신·구도심 균형발전’(47.4%)에 대한 기대가 압도적으로 높았다. 연령대별로도 19~29세와 30대, 50대가 ‘신·구도심 균형발전’(각 28.2%, 31.3%, 31.8%)을 가장 많이 꼽은 반면 40대와 60대 이상은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각 30.7%, 29.2%)을 꼽았다.

◆충북

충북도민은 지역 균형발전을 가장 시급한 현안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현안 과제 중 가장 시급하다고 생각하는 과제는 무엇입니까’라는 물음에 가장 많은 응답자인 31.5%가 ‘북중남부 균형발전’이라고 답했다. 뒤를 이어 ‘복지예산 확충’이라는 응답이 23.6%를 차지해 충청권 다른 시·도에 비해 복지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혁신도시 안정적 정착’ 15.3%, ‘중부고속도로 확장’ 9.6%, ‘청주공항 활성화’ 6.3% 순이었다. 기타와 ‘잘모름’이란 응답은 각각 7.6%와 6.1%.

충북 역시 지역별로 시급한 현안에 대한 기대감은 확연히 달랐다. 충북 북부권(47.6%)과 남부권(45.4%)는 ‘북중남부 균형발전’에 대한 필요성이 압도적으로 높았지만, 청주권(22.0%)과 중부권(30.3%)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반면 청주권(30.5%)과 중부권(22.5%)은 ‘복지예산 확충’이 다른 지역보다 높게 조사됐다.

연령대별로는 복지를 선택한 19~29세를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지역 균형발전을 가장 시급한 현안으로 꼽았다. 정당 지지층별로는 보수 성향의 정당 지지층에서 지역 균형발전을 기대하는 경우가 많은 반면 민주당 지지층에선 복지 문제를 가장 시급하게 생각했다.

◆충남

충남도민은 차기 충남도지사를 비롯한 시·군수와 지방의원들에게 지역 경제 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기대했다. ‘지역 현안 과제 중 가장 시급하다고 생각하는 과제는 무엇입니까’라는 물음에 응답자 중 가장 많은 33.7%가 ‘경제 성장과 일자리 창출’이라고 답했다. 두 번째를 차지한 ‘지역 균형발전’ 20.6%보다 13%P 이상 높게 나타났다. 그만큼 도민들은 현재 지역 경제 상황과 일자리 부족이 심각하다고 받아들인 것으로 풀이된다.

이어 ‘미세먼지 해결 방안’ 15.0%, ‘복지정책 강화’ 13.2%, ‘저출산 고령화 해결’ 12.9%로 조사됐다. 기타와 ‘잘모름’이라는 응답은 각각 2.5%와 2.1%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상대적으로 개발 속도가 느린 충남 서해안권(24.9%)과 남동권(24.7%)에서 ‘지역 균형발전’을 답한 응답자가 상대적으로 많았으며, ‘경제 성장과 일자리 창출’에 대한 기대감은 아산당진권(40.0%)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령대 별로는 19~20대부터 60대 이상까지 모든 연령대에서 ‘지역 균형발전’이 20~21%를 차지해 고르게 나타났으며, ‘경제 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꼽은 응답자는 50대(40.0%)에서 가장 높게 조사됐다. 지지 정당별로는 보수 정당 지지층이 진보 정당 지지층보다 경제와 일자리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나운규 기자 sendme@cctoday.co.kr


<여론조사 개요>

○조사기관-㈜리얼미터, ○의뢰사-㈜충청투데이·TJB대전방송, ○조사지역·대상 및 표본크기-대전(802명)·세종(506명)·충북(810명)·충남(800명) 거주 성인남녀, ○조사일시-대전·충남 2018년 5월 27일~28일, 세종·충북 28일~29일, ○조사방법-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자동응답 방식, ○표집틀 및 표집방법-무선 60% 가상(안심)번호 프레임, 유선 40% 무작위 생성 전화번호를 통한 임의전화걸기(RDD, Random Digit Dialing)를 동시에 실시하는 이중표집틀(Dual Frame) 방식, ○피조사자 선정방법-통신사 제공 무선 가상번호 및 유선 무작위생성 표집틀을 통한 임의 전화걸기, ○응답률-대전 4.1%(총 1만 9475명 중 802명 응답완료), 세종 3.5%(총 1만 4580명 중 506명 응답완료), 충북 5.4%(총 1만 4911명 중 810명 응답완료), 충남 4.0%(총 2만 32명 중 800명 응답완료), ○가중값 산출 및 적용방법-지역별, 성별, 연령별 가중값 부여(림가중, 2018년 4월 행정자치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기준), ○표본오차-대전(95% 신뢰수준, ±3.5%p), 세종(95% 신뢰수준, ±4.4%p), 충북(95% 신뢰수준, ±3.4%p), 충남(95% 신뢰수준, ±3.5%p)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