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지방선거가 채 20일도 남지 않았지만 시·도교육감 선거 역시 유권자 관심을 끌지 못하고 있다. 충청권 교육감 후보들은 어제 선관위에 후보등록을 한 후 표심잡기 각축전에 들어갔다. 이들은 선거사무소 개소식을 갖거나 교육비전 및 공약 발표 등 나름대로 자신의 얼굴 알리기와 정책 홍보에 열을 올렸다. 하지만 정작 주민들의 반응은 차갑다. 누가 교육감 후보로 나왔는지조차도 모른 채 투표를 해야 할 판이다.

충청권 교육감 선거 구도는 진보와 보수 양진영으로 나뉘어져 있다. 대전 성광진, 세종 최교진, 충남 김지철, 충북 김병우 후보 등 4명의 진보 교육감 후보들은 어제 선거 연대를 결성하고 공동공약 발표 기자회견을 가졌다. 이들은 급식, 안전한 학교환경 조성, 고교무상교육과 학교교육경비 지원 확대, 돌봄 강화 등 교육 복지와 학생 안전 강화 등 10개항의 공동공약을 내놓았다. 진보 보수 양자로 선거 구도가 압축되고 있는 추세를 감안한 조치다.

교육 분야는 자주성, 전문성, 정치적 중립성을 헌법에서 보장하고 있다. 교육감 후보에 대해 정당 공천이나 정당 표방을 할 수 없는 까닭이다. 지방교육자치의 수장을 뽑을 때마다 진보는 진보대로 보수는 보수대로 후보 단일화를 위해 자기들만의 리그를 펼치는 게 과연 합당한 것이지 의문이다. 아직도 일부 지역에선 서로 후보 사퇴를 요구하면서 갈등을 증폭시키고 있다. 교육을 특정 이념으로 재단할 일인가. 오로지 지역 교육의 알찬 미래를 창출하는 과정에서 지역 교육 주체들의 역량을 결집시킬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어느 나라보다도 교육열이 가장 높다는 대한민국에서 이토록 교육감 선거에 냉담하다는 건 아이러니다.

교육은 지역 초·중·고교의 교육을 책임지는 막중한 권한을 갖는다. 지역 교육의 질을 좌우하는 정책을 수립 집행할 뿐만 아니라 막대한 재정과 인사권한을 가진다. 일부 교육감이 교육 비리에 연루돼 지역 교육을 멍들게 하기도 한다. 모름지기 쓸모 있는 교육감을 뽑아야 할 책임이 유권자에게 있다. 도덕적으로도 하자 없고 비전과 정책 및 공약이 탄탄하고 실현 가능성이 충분한지 꼼꼼히 살펴보자.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