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6·13 지방선거 후보자 등록이 오늘부터 내일까지 이틀간 관할 선거구 선관위에서 접수한다. 선거운동은 오는 31일부터 본격 개시되지만 사실상 선거가 개막된 셈이다. 이번 선거에서는 시·도지사 17명, 시ㆍ도 교육감 17명, 기초단체장 226명, 광역의원 824명, 기초의원 2927명, 교육의원(제주도) 5명 이외에도 지역구 국회의원 12명을 새로 뽑는다. 지방의원 비례대표까지 포함하면 4100여명에 이른다. 본선 게임을 앞두고 치열한 한판 승부를 가리는 국면을 맞았다.

지방선거 20일을 앞두고도 아직껏 유권자 관심을 끌만한 지역 의제가 뚜렷하게 부상하지 않고 있다. 남북 평화의제가 국민 관심사를 넘어 세계적인 대형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국정지지율과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이 압도적이어서 야권은 초반 판세가 불리하다. 선거 과정에서 후보의 비전과 정책, 자질과 능력을 검증하는 선거의 기능이 실종된다면 그 폐해는 결국 지역민에게로 돌아간다. 이를 이슈화하는 일이 시급하다.

이러다가는 역대 지방선거 가운데 최저 투표율을 기록했던 2002년 6·13 선거 당시의 48·9% 수준에 그칠 수도 있다. 투표 성향은 대체로 연령별. 이념별 지지계층에 따라 그 양상이 다르다. 민주당은 지지계층인 20~30대 젊은층에 공을 들이고 있다. 반면 한국당은 이른바 '샤이보수'를 겨냥, 보수층 결집에 나섰다. 투표율을 놓고 특정 정파의 유불리를 판단하는 그 자체가 아이러니다.

이번 선거는 충청권에서 천안갑, 천안병, 제천·단양 등 3곳을 포함, 전국 12개 지역의 국회의원 재보선도 함께 치러진다. 미니 총선을 놓고 여야가 사활을 건 혈전을 벌일 태세다. 승패에 따라 원내 1, 2당이 뒤바뀔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 하나는 가뜩이나 선거 열기가 달아오르지 않는 가운데 교육감 선거에 대해선 더욱 냉담한 반응이어서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 지역 유치원·초·중·고 교육정책을 관장하는 수장을 뽑는 일에 무관심할 수야 없지 않은가. 지방선거 후보의 인물 됨됨이와 정책을 미리 세심하게 살펴보자.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