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4·27 남북정상회담 이후 정부의 대북지원과 '완전한 비핵화'를 전제로 하는 미국의 '북한판 마셜플랜' 구상과는 별도로 지방정부 차원의 남북교류협력 구상이 봇물을 이루고 있다. 지자체는 물론 교육청, 대학, 민간단체, 그리고 지방선거 출마자들도 앞 다투어 프로젝트를 내놓고 있다. 사업 내용을 보건대 문화·스포츠·학술 교류로부터 개발 및 경협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아직은 유엔차원의 대북제재가 완화되지 않아 경협 관련 사업은 구상 단계에 머물 수밖에 없다. 대한탁구협회는 6월 평양 대회 성사 후 7월엔 대전 코리아오픈에 북한팀을 초청할 계획이라고 한다. 남북한 여자 탁구팀은 지난 4일 1991년 지바탁구선수권대회 이후 무려 27년 만에 단일팀을 구성, 세계선수권대회에서 감동의 경기를 펼쳤다. 이밖에도 단일팀 유망종목은 조정, 카누, 농구를 꼽을 수 있다.

대전 인프라를 활용한 대북교류사업도 주목을 받고 있다. 남북과학기술협력교류, 남북철도 공동 R&D, 민족뿌리공원 프로젝트, 식목사업 등 다양한 방안이 대전시장 후보군으로부터 제시되고 있다. 충남도 당진 기지시 줄다리기 등 문화교류를 비롯해 인삼엑스포를 통한 인삼역량 확대 등 여럿이다. 청주국제공항의 위상도 달라질 수밖에 없다. 2007년 10·4남북정상회담 이후 충북도가 청주국제공항을 백두산 관광 전문공항으로 지정, 직항로 개설 방안을 정부에 건의한 바 있다.

지자체의 남북교류를 주목하는 건 정부와는 별개 채널로 남북화해와 협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2016년 2월 개성공단 가동 중단이후 가중되는 핵 위기 속에서도 여러 지자체가 남북교류를 포기하지 않고 교류를 모색해왔다. 인도적인 지원책 역시 빼놓을 수 없다. 비핵화가 현실화되고 남북평화체제가 구축되면 지자체 차원의 교류도 더욱 활발해질 것이다. 장기적으로는 지역경제 활성화도 기대할 수 있다. 차분하고 밀도 있게 장단기별로 미리 대비하는 노력이 긴요하다. 지자체별로 중복되거나 낭비되는 요소는 없는지 사업을 상호 조정하는 컨트롤 타워 역할이 더욱 중요해졌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