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뇌 속 '길 찾기 세포' 구조와 닮아"…'네이처'에 발표

▲ [DeepMind 제공]
▲ [DeepMind 제공]
▲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알파고의 아버지' 허사비스, 길 찾기 인공지능 개발

<이 기사는 2018년 05월 10일 02시 00분부터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고객사의 제작 편의를 위해 미리 송고하는 것으로, 그 이전에는 절대로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엠바고 파기시 전적으로 귀사에 책임이 있습니다.>

"사람 뇌 속 '길 찾기 세포' 구조와 닮아"…'네이처'에 발표

(서울=연합뉴스) 신선미 기자 = 한 번 가본 길은 잊지 않고 잘 찾는 사람들이 있다. 어떤 사람들은 동물적인 방향 감각으로 목적지를 찾아내기도 한다. 최근 이런 길 찾기 능력을 보유한 인공지능(AI)이 개발됐다.

구글 딥마인드의 창업자인 데미스 허사비스 최고경영자(CEO)와 이 회사 소속 연구원들은 길 찾기 AI를 개발해 10일(한국 시간) 과학학술지 '네이처'(Nature)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이전에 개발한 바둑 AI '알파고'처럼 딥러닝과 강화학습을 이용해 길 찾기 AI를 개발했다. 이는 포유류가 공간을 인식할 때 활성화되는 '격자 세포'(grid cell)와 형태가 유사했다. 격자 세포는 동물의 길 찾기를 돕는다고 해, '뇌 속의 GPS'라고 불리기도 한다. 마이브리트 모세르, 에드바르 모세르 노르웨이과학기술대 교수 부부는 이를 처음 발견해, 지난 2014년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한 바 있다.

연구진은 격자 세포의 특징을 가진 신경망을 강화학습에 활용해, 기존보다 뛰어난 길 찾기 AI를 만들었다. 연구진이 개발한 AI는 학습을 거듭하며 길 찾기 실력이 점점 향상됐다. 새롭게 바뀐 지형에도 적응해 지름길을 찾아냈고, 미로 찾기 게임에선 사람보다 더 뛰어난 능력을 보이기도 했다. 내비게이션계의 '알파고'가 등장한 셈이다.

연구진은 개발한 AI를 뇌 기능 연구에 활용하기도 했다. 이 AI를 '격자 세포 신경망'을 제외한 버전과 비교한 결과, 격자 세포는 길 찾기 과정에서 직선거리와 방위를 추정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정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박사는 "이번 연구는 뇌과학 분야의 중요한 질문을 AI 기술을 이용해 접근한 사례"라며 "진정한 학문 간 융합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AI 기술은 뇌를 모방하는 데서 출발했지만, 앞으로는 AI를 이용한 실험이 뇌의 기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기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sun@yna.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