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전지역 각계 인사 200여명으로 구성된 '지역인재 채용 역차별 극복 범시민비상대책위원회'가 어제 발대식을 열고 본격 활동에 들어갔다. 지역인재 채용 과정의 역차별을 개선해달라는 지역사회의 줄기찬 요구에도 아무런 반응이 없자 시민대책위원회가 구성된 것이다. 대전은 지역인재 채용대상에서 전면 배재돼 있다. 혁신도시가 없는 탓이다. 누가 봐도 불합리한 이 역차별 문제는 시정돼야 마땅하다.

혁신도시법은 지방에 이전한 공공기관은 일정비율 지역인재를 채용하도록 의무화 하고 있다. 올해부터 채용정원의 18%를 해당지역 대학 졸업생으로 뽑되 그 비율을 2022년에는 30%까지 확대 채용하도록 하고 있다. 지역 대학 졸업생 채용 비율이 점차 높아지는 셈이다. 지역인재는 지방으로 이전한 공공기관이 위치한 시도 내 대학을 졸업한 학생을 일컫는다. 지방인재의 취업기회를 넓혀주자는 취지에서 도입됐다.

문제는 지방으로 이전한 공공기관의 수가 행정구역마다 천차만별인데다 대학 수를 안배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공공기관이 많이 이전한 곳은 혜택을 많이 받고, 반대로 이전기관이 적은 곳은 혜택을 받지 못하는 구조다. 대전은 이전기관이 단 한 곳도 없다보니 지역인재 채용 조항이 있으나 마나다. 대전은 관내 19개 대학에서 매년 3만5000명의 졸업생이 배출되지만 아무런 혜택을 받을 수 없다. 18개의 대학이 있는 충남지역도 공공기관 2곳만이 이전해 불만이다. 반면 단 3개의 대학이 소재한 세종시는 19개의 공공기관이 이전해 대조적이다.

대전·충남 이외 지역은 이전기관이 비교적 많아 이의 제기가 별로 없다. 대구·경북과 광주·전남은 시·도가 아닌 권역으로 확대해 역차별 논란을 해소했다. 이들 지역처럼 대전·충남·세종을 하나의 권역으로 묶자는 의견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그러자면 지역사회의 합의가 긴요하다. 대전에 소재한 수자원공사, 조폐공사, 철도공사, 철도시설공단 등 4개 공공기관의 지역 대학생 채용할당 의무화 추진도 고려해 봄직하다. 지역인재 채용 역차별 문제가 해소될 수 있도록 시민대책위원회에 힘을 실어주자.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