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충남지역 입주업체 6곳 2016년 갑작스런 폐쇄로 피해

개성공단에 입주했던 지역 기업들이 폐쇄 2년 2개월만에 시행되는 남북 정상회담을 앞두고 공단 가동 재개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대부분 기업이 재입주 의사를 밝히며 환영하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입주 기업의 리스크 반복 방지를 위한 과제가 함께 해결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26일 대전상공회의소와 개성공단기업협회 등에 따르면 대전충남지역 개성공단 입주업체는 대전의 에스엔지㈜와 한스산업㈜ 등 2곳과 충남 4곳 등 총 6곳이다. 남성 기성복을 생산하는 에스엔지와 등산화·안전화 등을 생산하는 한스산업은 개성공단에 각각 30억~100억원 상당을 투자했던 것으로 파악됐다.

핫이슈2-개성공단.jpg
▲ ⓒ연합뉴스
에스엔지의 경우 2016년 급작스레 개성공단이 가동 중단된 후 방북조차 할 수 없게 되면서 제어설비나 생산라인, 원자재 등 수 억원에 달하는 설비 등을 방치해 둔 상태다. 한스산업은 돌연 폐쇄 이후 대전과 베트남에 공장을 설립한 채 운영을 이어오고 있다. 두 기업 모두 갑작스런 폐쇄로 공단 내 물자를 온전히 반출하지 못하면서 큰 피해를 입은 사례로 꼽히고 있다.

충남지역도 자동차 부품, 기계금속 제조업체 등 다양한 업종의 입주 업체들이 있었지만 막대한 피해를 감수하고 현재는 공주와 천안 등에 대체공장을 설립해 운영 중이다.

이 같은 상황 속에서 이들 기업들이 이번 남북 정상회담에 거는 기대는 크다. 지역의 한 입주기업 관계자는 “잘 돌아가던 공장이 한순간 출입조차 할 수 없는 곳으로 뒤바뀌어 버리니 망연자실할 수밖에 없었다”며 “입주 기업들이 그동안 너무 지쳐있었기 때문에, 말을 아끼고 있는 상황이지만, 대체적으로 현재 흐름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좋은 결과가 있기를 바라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기대감과 함께 공단 재개를 위한 과제도 수면 위로 올랐다. 우선 개성공단 재개를 위해 미국과 유엔 등의 대북 제재 문제 해결이 우선돼야 하는 상황이다. 제재가 풀리지 않는다면 공단 가동 이후에도 북한 노동자를 고용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이다. 공단 운영에 대한 불확실성 또한 해결돼야 할 요소로 비춰지고 있다. 국내 정치적 지형 변화 등으로 개성공단이 폐쇄를 반복할 경우 입주 기업들이 매번 막대한 손실을 감내해야 하는 만큼 법적 제도적 안전장치가 마련돼야 한다는 것이다.

개성공단기업협회 관계자는 “아직까지 북한을 둘러싼 여러 제재 조항이 있기 때문에 재가동 여부를 당장 판단하기는 어렵다”며 “개성공단 재가동은 향후 북미정상회담 등의 결과까지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더이상 공단 중단이 정치적 영향을 받지 않도록 안정적인 법체계가 정비도 함께 마련돼 기업들이 부담감을 갖지 않고 개성공단에서 사업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인희 기자 leeih5700@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