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전시가 혁신성장 거점도시로 거듭 날 수 있을 것인가. 지난 2월 1일 문재인 대통령이 '국가균형발전 비전과 전략 선포식'에서 "중앙정부가 주도했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자치단체가 정책과 사업을 기획하고 중앙정부가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전환할 것"이라고 밝힌 후 각 시도마다 정부의 균형발전 지원체계에 따라 지역발전 혁신 프로젝트 수립에 안간힘을 쏟고 있다. 혁신성장 측면에서 쇠퇴 일로에 있던 대전시가 이를 호기로 활용하느냐 여부는 전적으로 지역 역량에 달려 있다.

지역에서 지역실정에 맞는 사업계획을 자율적으로 수립하면 부처가 계획의 실행을 포괄적으로 지원하는 시스템이므로 이를 잘 활용하는 것이 그 첫 번째이다. 지역혁신체계를 유효 적절하게 가동하기 위해서다. 지역특성화 전략을 공감 추출하기 위해선 경험 및 역량을 모으는 일이 선결돼야 한다. 대전시, 시민단체, 대학, 기업 등 관련기관이 참여하는 지역혁신협의회의 운영방안을 주시하지 않을 수 없다.

지역의 새로운 혁신성장 거점으로서의 '국가혁신클러스터'를 어떻게 조성하느냐가 핵심이다. '제4차산업혁명특별도시' 육성에 심혈을 기울여온 대전시로선 가야할 목표가 더욱 뚜렷해졌다. 4차산업혁명은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Cloud), 빅데이터, 모바일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이 우리 생활 전반에 융복합돼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온다. 대전시는 그간 축적해온 경험을 토대로 기본방향을 설정한 뒤 컨설팅과 보완을 거쳐 6월말 확정할 것이라고 한다.

대전은 대덕특구라는 역사와 전통 그리고 유무형의 인프라가 풍족한 것만은 사실이다. 과학기술 연구개발의 노하우와 인적 역량을 기반으로 우리나라 과학기술을 선도해왔다는 점에서다. 다만 지속가능한 성장차원에선 다소 역설적인 회의감이 나온다. 산학연관 네트워크가 원활하지 못해 생산성에서 뒤지고 있는 탓이다. 다른 지역에서 선호하는 클러스터 모델로 대덕특구보다는 판교테크노밸리를 꼽고 있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지역의 명운을 걸고 지역혁신의 기회를 잘 살려야 함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예컨대 과학밸트 사업이 기초·응용과학자와 기업인이 연계, 새로운 스타트업을 창출하는 클러스터 조성의 일환이었다는 점도 놓쳐선 안될 것이다. 장단기별로 그랜드 비전을 그려내야 한다. 제4차 국각균형발전 5개년 계획(2018∼2022)에도 대비해야겠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