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금리 대출로 시작한 업자들, 커진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에 대출규제 겹쳐
수익 악화 우려…
상가 시장성 낮은 점도 리스크

슬라이드뉴스3-부동산-상가임대.jpg
▲ ⓒ연합뉴스
#1 세종시를 '기회의 땅'으로 여긴 대전 직장인 민모(36)씨는 최근 얼굴에 먹구름이 한가득이다. 민씨는 2년전 부모님의 지원과 은행의 낮은금리로 대출을 받아 어진동 상가에서 부가 수입을 목적으로 임대를 시작했다. 하지만 해당 상가가 장기간 공실을 유지하고 있는데다 최근 금융시장이 금리 인상 사이클에 접어들며 갈수록 대출 상환 부담만 커져가고 있다.

#2 대전 유성구 궁동에서 원룸 임대를 시작했던 오모(63)씨도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조물주 위에 건물주’ 장밋빛 꿈을 안고 퇴직 후 모아둔 목돈에 빚을 내고 전부를 걸었던 오씨는 “간신히 수익률을 내는 수준”이라며 졸지에 빌딩푸어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최근 정부가 부동산 임대업에 대한 여신심사를 강화하면서 투자금 회수도 어려운 처지에 놓였다.

급격히 늘어난 대전·세종지역 임대업자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커진만큼 대출 상환 부담이 가중되는데다 이번달부터 임대업 대출 심사가 한층 깐깐해지고 대출 한도도 줄어들기 때문이다. 14일 기획재정부가 국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임대업 신고 인원이 가장 가파르게 늘어난 곳은 세종으로 최근 4년간 2000명에서 3600명으로 늘어 증가율이 79%에 달한다. 전국적으로는 울산·제주에 뒤이어 대전(10.4%)이 증가율이 높아 충청권에서는 대전·세종지역 임대업자가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권 대출에서 부동막임대업이 차지하는 비중도 급증했다. 한국은행의 ‘예금취급기관 산업별 대출금’에 따르면 은행권 대출에서 부동산·임대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2001년 불과 4.2%에서 지난해에는 19.5%로 5배 가까이 증가했다. 몇년새 가계·기업의 유동성이 부동산으로만 흘러 들어간 셈이다. 문제는 너나할 것 없이 대출을 받아 뛰어든 임대업자들의 투자금 회수에 적신호가 들어왔다는 것이다.

금리상승에 대출규제가 겹쳐 유동성이 풀렸던 시기 은행권 대출을 받은 임대업자들의 수익률이 갈수록 불투명해졌기 때문이다.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 관계자는 "금리상승기에는 임대료와 자산가치 두 가지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며 “임대료가 낮아도 자산가치가 오른다면 버틸 것이고 자산가치까지 떨어지면 투자금 회수가 어려울 수 있다"고 전했다.

특히 상가 임대는 사려는 사람이나 팔려는 사람이 주택에 비해 적어 현가성(시장성)이 떨어지는 점도 리스크다. 세종지역은 주택시장과 달리 상가는 공실률 상승과 임대수익률 하락으로 침체 분위기가 완연하기까지 하다. 기대에 못 미치는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는데다 금리인상 등 수익률 악화 우려에 임대업 열풍이 한 풀 꺾일 것으로 전망되는 이유다. 한편 국내에서 가계의 임대업 대출은 기업대출로 분류되지만 사업이 어려워지면 결국 가계가 어려워지는 구조로 가계부채 연착륙에도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윤희섭 기자 aesup@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