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1.jpg
한선희 대전시 과학경제국장

작년 7월초에 과학경제국장으로 발령 받은 이후 경제관련 중앙부처가 개최하는 회의에 참석할 때마다 심각한 위기의식에 사로잡히곤 했다. 그런 회의에서는 중앙부처의 새로운 정책도 소개되지만 각 시·도의 경제국장들이 참석하여 자신들의 지역에서 진행되고 있는 사업을 소개하며 중앙부처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하는데 들을 때마다 깜짝깜짝 놀란다. 특히 서울과 경기도의 수도권에 집중되는 기업투자와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동남권의 지역개발사업을 통한 경제성장모습을 보면 식은땀이 날 정도다.

이에 더해 지난해 한국산업연구원의 충격적인 보고서가 있었다. 본 보고서는 지역경제에 있어서 생산활동 기여도가 높은 ‘생산인구’의 변화가 지역성장 변동경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분석을 위해 클라센의 ‘지역순환가설’모형을 활용하여 각 지역을 4개 유형(성장지역, 정체지역, 쇠퇴지역, 잠재적 성장지역)으로 분류하고 우리 대전을 1990년부터 2015년까지 3단계로 나누어 진단하였다.

분석결과, 2002년까지는 성장지역이었던 우리 대전은 이후 2014년까지 정체지역으로 변동하였고 가장 최근인 2015년부터는 쇠퇴지역에 진입한 상황이라는 결과를 내놓았다. 그러면서 지역성장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생산인구’의 타 지역 유출을 방지하고 그들이 지역내에 정착할 수 있는 생태계의 조성이 최우선이라는 대응방안도 제시하였다.

필자는 우리 대전이 왜 이렇게 쇠퇴지역이라는 침체의 늪에 빠지게 되었는지 그 원인을 찾기 위해 심각한 고민에 빠졌고 눈부실 정도로 빠르게 성장중인 경기도 판교테크노밸리와 부산센텀시티 등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성장지역을 둘러본 결과 나름대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었는데 그것은 바로 기업공간이 아닌 오로지 아파트 중심의 지역개발방식에 있었다.

우리 대전은 최근 20년에 걸쳐서 많은 신도시 지역개발사업을 하였지만 둔산, 노은, 도안지역 등 대부분 아파트 건립에만 초점을 맞추었을 뿐 산업단지나 지식산업센터 등 기업들을 위한 공간은 거의 제공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아파트 중심의 지역개발은 단기적으로 지역건설경기 회복에만 도움이 될 뿐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역의 경제 규모를 키우고 기업유치를 통한 새로운 일자리 창출에는 큰 도움이 되진 못한다.

특히 지역경제의 생산성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변수인 ‘생산인구’의 유입과 유출방지에는 도움이 되지 못하고 단순히 원도심 인구의 신도시 아파트지역으로 이동을 초래하면서 원도심 공동화현상만 심화시키고 있다. 최근 7년간 우리 지역에서 아파트가 6만1228세대가 신규 공급되었지만 인구는 13만376명이 감소한 결과를 보면 이러한 분석이 틀리지 않음을 방증하고 있다.

그렇다면 앞으로 ‘생산인구’의 유입과 유출방지를 위해서는 어떤 방식으로 지역개발사업을 진행해야 할까?

명쾌한 답은 이미 나와 있다. 바로 판교테크노밸리와 부산센텀시티의 성공사례처럼 지식산업센터(아파트형공장) 위주의 고밀도 지역개발을 통해 기업들에게 필요한 공간을 충분히 제공하고 동시에 지역건설경기도 활성화 시키는 전략으로의 일대 전환이 필요하다. 손쉽게 개발수익이 보장되는 아파트 개발이 아닌 어렵지만 우리 대전을 성장지역으로 되돌릴 수 있는 길을 이제는 선택해야 하지 않을까?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