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 춘추]
복영한 대전연극협회장


새 정부의 문화예술 기조가 공정성과 다양성을 어떻게 제도화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과 문화예술 다 방면의 목소리를 듣고 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예술가가 직접 정책을 펼칠 수 있는 제도가 필수다. 장르별 예술가가 자기결정 할 수 있는 장르의 특성을 살리는 그를 통한 행정이 바뀌는게 아니라 장르마다 걸 맞는 옷을 입은 정책이 나와야 한다.

문화예술을 생산함에 있어 소비를 계산하는 정책은 옳지 않다고 본다. 문화예술은 공공성 역할 측면에서 국가가 예술가와 단체를 지켜주는 예술가 중심의 정책수립이 원칙이다. 소비는 그것을 바탕으로 대중의 삶의 스며 들어야 한다. 토론장에 가보면 예전엔 현 정책을 놓고 옳고 그름의 공방과 지원금에 수해에 있었다면 요즘엔 예술현장의 경험에서 나오는 실질적 목소리를 어떻게 정책화 할 것인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변화가 보이는 대목이다. 예술 생태계 조성에 전환점을 찾아야 한다. 창작지원에서 공간 개념으로 예술가들이 함께 공유하는 레지던시 조성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것은 국내·외는 물론 지역 주민과도 연개된 교류의 활성화 측면에서 필요한 대목이다. 이런 과제는 분명한 사실을 직시하고 바라볼 필요성이 있다. 예술가가 만드는 가운데에서 거버넌스가 확립 되어야 한다. 가시적으로 자율적 예술행정을 위한 예술가 주도의 문화예술행정이 수립되리라 본다.

우린 지난 정권에서 아픈 상처를 기억하고 있다. 잘못된 권력에 많은 예술가들이 상처를 받았다. 많은 예술가들이 공정한 경쟁에서 권력에 의해 소외 받았다. 잘못된 권력에 대한 견제 할 수 있는 세력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이 또한 현장의 예술가들이 정책에 참여하지 않으면 되풀이 될 수 있는 우려가 되는 부분이다. 예술위원의 정책에서 현장 예술가 중심으로 서로 절충되야 하는 것이다. 예술행정가들이 갖는 기조와 현장 예술가들의 경험을 통한 예술가들의 정책 참여로 장르 특성에 맞는 바른 정책이 절실하다.

다양한 장르의 특성을 살리고 공정성이 담보되며 현장 중심의 제도가 만들어 질 때 문화예술정책은 건전하게 자리매김 될 것이다. 빠른 움직임으로 인한 오류를 범하지 않는 소통과 화합의 새로운 예술가 주도형 예술정책이 만들어지는 기대를 가져본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