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 기고]
신성호 대전시 시민안전실장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사고가 발생한지 7년이 지났다. 사고 이후 정부는 원자력 안전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안전기능을 보완시켜왔지만 시민들의 원자력 안전에 대한 불만은 여전하다. 우리 대전은 한국원자력연구소를 비롯해 6개의 원자력 관련 기관이 입주해 있는 원자력산업의 중심지다. 더구나 방폐물 보관양도 전국에서 두 번째로 많다.

대전시는 지난해 시민검증단 출범, 원자력안전 조례 제정, 원자력안전 민관정 협의회, 전국최초로 원자력안전협약을 연구원과 체결하여 시민안전과 환경보전을 위한 시책을 추진해왔다. 원자력시설 안전성 시민검증단은 국내에서는 최초로 원자력 시설에 대한 안전성을 시민이 직접 검증하고 확인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특히 실험체를 제작하여 진동대 실험을 실시하여 안전성을 확인하는 것은 원자력시설 안전성 검증에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했다. 연구원도 시민과 약속한 방폐물 1000드럼을 반출하고 방폐물 처리시설 현대화 등을 추진해왔지만 아직도 우리지역에 남은 방폐물 양은 2만 9633드럼으로 타 지역보다 많아 원자력연구원이 조기반출계획을 수립하고 성실히 이행해야 한다. 원자력연구원의 안전성 확보 노력에도 불구하고 지난 1월20일 발생한 화재사고로 재해예방에 대한 체제를 재정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자칫 대형사고로 이어질 1월20일 화재사고의 경우 조기대응으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었지만 재난시스템은 제대로 작동하지 못했다.

최근 발생한 제천 찜질방 화재와 밀양 세종병원 화재 참사 등에서 보듯이 대부분 사고는 부실시공, 감독소홀, 경고묵살, 규정무시 등이 원인으로 밝혀졌다. 연구원도 이번 화재사고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통해 근본적인 예방대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또 지진이 빈번히 발생하고 이상기온으로 시설 안전성을 위협하고 있어 기존의 시설물들에 대한 안전진단과 사전보완 대책이 시급하다. 무엇보다 시민의 안전과 직결된 방폐장 처리시설에 대한 내진보강과 화재예방 조치가 선행돼야한다.

더 이상 후진국형 인재로 인해 시민의 안전이 불안하고 원자력에 대한 불만으로 이어져서는 미래발전을 기약할 수 없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원자력 안전을 연구하는 국책연구기관인 만큼 시민의 안전과 환경보전에 앞장서야한다. 대전시는 시민이 만들어주신 검증단 활동결과를 바탕으로 원자력안전이시민의 관심과 사전대비가 안전을 좌우한다는 각오로 그동안 미흡했던 제도를 보완하고 원자력 시설의 안전성을 확보하여 시민의 안전 불신과 불안을 해소해 나갈 것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