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정치권이 설 민심 잡기에 돌입했다. 이번 설 연휴는 6·13지방선거 민심의 소재를 가늠할 수 있는 제1차 관문이다. 각 정당 인사들이 총출동해서 민심잡기 경쟁에 나선 이유다. 선거판 초반부터 기세 선점을 위한 절박감이 그대로 묻어나온다.

정치권의 설 민심 공략은 대략 두 가지 채널로 전개되고 있다. 하나는 국정 운영 및 이슈에 대한 여야의 공방전이고, 또 하나는 지방선거 출마 후보군들이 정당 공천 경쟁을 염두에 두고 후보 간에 벌이는 인물 중심의 각축전 성격에다 지역 민심 선점 형세를 띠고 있다. 문재인 정부가 지난 해 5·9장미대선 이후 1년여 만에 처음으로 전국단위 선거를 치르는 만큼 국정운영에 대한 중간평가 성격에 대비할 수밖에 없는 구도다.

여야가 사활을 걸고 수비와 공세로 맞서고 있는 주제는 많다. 가상화폐, 최저임금, 근로시간 단축, 영유아 영어교육, 부동산 대책, 국민안전대책 등을 싸고 여야가 날카롭게 대치하고 있는 상황이다. 지금까지는 문재인 대통령의 높은 지지율 덕분에 국정의 동력으로 작용했지만 최근 지지율이 60%선에서 횡보함으로써 여권에 긴장감을 불어넣고 있다. 그간 국정지지 세력이었던 2030세대의 이탈 움직임에 민감하다.

여기에다 내 고장 살림살이를 책임지고 꾸려갈만한 유능하고 도덕적인 지역 일꾼을 뽑아야 하는데 그 과정이 그리 단순치만은 않다는 점이다. 지방선거는 풀뿌리 민주주의의 과정이므로 지역 축제 형식으로 치르는 게 이상적이지만 현실은 녹록치가 않다. 첫째 공약 검증 문제다. 지역별 이슈를 누가 창출하고 이를 선점할 것인가. 각 후보들이 제시한 지역현안에 대해 진정성 있는 대안인가 여부를 지역민이 엄정하게 판별해내야만 한다. 아울러 인물 검증도 치열한 절차를 거쳐야 마땅하다. 광역단체장과 교육감 선거의 예비후보자 등록이 시작되면서 선거 열풍이 서서히 달아오르자 후보간 신경전이 자못 뜨겁다. 벌써부터 경선 후유증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터져 나온다.

지방선거 결과에 따라 각 정당의 명운이 확연히 엇갈리게 돼 있다. 설 민심이 중요할 수밖에 없다. 여권으로선 문재인 정부 집권 2년차를 맞아 민생 개혁 과제의 원활한 추진을 기대할 것이다. '신4당체제'로 재편되고 있는 상황인지라 각 당의 셈법도 복잡미묘하다. 6·13지방선거는 국회의원 재보궐선거와도 연동돼 있어서 선거 이후 파급 효과 등 정치적 함의가 막중하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