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이 어제 통합키로 확정했고 이에 반대하는 민주평화당이 지난 6일 창당함으로써 정치권이 '신4당체제'로 재편되고 있다. 정국의 캐스팅보트를 놓고 경쟁이 치열해지는 구도다. 충청권의 경우 최대 현안인 세종시 행정수도 개헌에 대한 각 당의 입장이 초미의 관심사다.

신4당체제는 각 정당의 국회의석 구도상 '범여(汎與)-범야(汎野)' 또는 '진보-보수'로 분류할 수 있다. 각 정당의 정강 정책을 살펴보면 각 정당의 추구하는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그럴 경우 바른미래당은 자유한국당에 가깝고, 민주평화당은 정의당, 민중당 의원과 함께 여권 쪽에 가깝다. 각 정당이 국회에서 법안 처리나 표결과정에서 사안별 공조 및 연대를 모색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는 것이다. 서로 견제와 균형이라는 다당제 특유의 현상이 두드러지는 가운데 어느 당이 주도권을 행사할 것인가 지켜 볼만하다.

그렇다면 세종시 행정수도 개헌은 어떤 구도 아래 전개될 것인가. 복잡 미묘한 역학구도가 이미 설정돼 있다. 이 사안은 진보와 보수로 구분되는 단순한 이슈가 아니다. 세종시 프로젝트는 국가의 비전과 연관된 국책 사업으로 지방분권과 균형발전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시대적 이슈다. 특정 정치세력이나 이념을 훌쩍 뛰어 넘는다. 오로지 누가 이슈를 선점하여 명분과 실리를 살려 국민 앞에 결과물을 내놓을 것인가. 앞을 내다보는 정치적 리더십이 관건이다.

지난 대선에서 이런 현상은 어느 정도 드러났다. 당시 대선의 주요 정당 후보들이 한결같이 세종시 행정수도 개헌을 약속했다. 이제 각 정당이 오는 6·13 지방선거에서 당시 약속에 대한 이행 여부를 확실하게 내놔야 할 책임이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세종시 행정수도 명문화 개헌을 당론으로 확정한 바 있다. 이제 공은 야당 쪽으로 넘어갔다. 자유한국당이 이달까지 내놓을 개헌 당론에 이목이 쏠린다. 바른미래당이나 민주평화당 또한 지금까지 성향으로 볼 때 반대한 명분이 없다.

충청권이 신4당체제 아래서 또 다시 캐스팅보트 역할론으로 주목 받는 형세다. 그 핵심 고리는 바로 '세종시 개헌'이다. 충청의 표심은 '실리적인 전략 투표', '실용주의적 투표' 성향이 강하게 작동하고 있는 까닭이다. 지역 이슈가 국가발전의 목표와 일치할 경우 그 위력은 상상을 초월한다. 각 정당이 명심할 일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