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릭 이슈] 대전시 청년정책 컨트롤타워 부재
일자리·주거·복지 ‘복잡한 함수’
서울시 청년허브 문제 집적화
市는 공간·재원 지원 뒷받침
청년 스스로 정책 해법 찾아

글싣는 순서
1. 산재한 대전 청년정책
<2> 서울시 청년허브 주목
3. 대전형 청년허브 구축 필요

이미지박스1-취업준비.jpg
▲ 사진 = 아이클릭아트 제공
대전시 청년정책의 컨트롤타워 부재 등 문제점 해결을 위해 서울시의 '청년허브'를 주목할 필요성이 있다.

서울시는 전국 지자체 최초로 청년 기본조례를 제정·공포하며 정책 추진을 위한 생태계를 마련했다. 그중에서도 2013년 설립한 서울시 청년허브는 청년정책의 상징으로 거론된다. 청년허브는 청년 문제를 한 곳에서 해결하는 집적화된 기관이자 청년들이 스스로 모여드는 공간이다.

무엇보다 단순히 취·창업 지원에만 얽매이지 않고 있다. 청년허브의 사업을 살펴보면 청년 커뮤니티 비용과 공간 등 청년활동 지원부터 청년 능력개발 및 인재육성 교육 등이 있다.

또 일자리 진입을 위한 혁신 사업과 주거 안정, 문화 활성화를 비롯해 청년 문제의 실질적 해결을 모색하는 정책 활동도 주요 사업이다.

청년을 둘러싼 다양한 문제들을 청년허브가 구심점이 돼 조명하고 풀어가고 있는 구조다. 서울시 관계자는 “청년문제는 일자리 창출만으로 풀 수 없다”며 “청년문제는 주거, 복지, 부채 경감 등 굉장히 많은 요소들이 실타래같이 엉켜있다. 청년허브는 개별적으로 흩어져있는 사업을 하나의 정책방향으로 끌고가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운영하는 일종의 컨트롤타워”라고 설명했다.

서울시 청년정책의 주체는 청년이다. 시는 공간과 재원을 지원해주고 그 안에서 풀어나가는 것은 당사자인 청년들의 몫이다. 서울청년정책네트워크나 서울청년의회 등의 정책들이 대표적인 사례다. 청년이 청년의 목소리를 듣고 또 그것들이 실제 서울시의 정책으로 반영되고 있다.

행정기관이 청년정책을 주도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서울청년정책네트워크 한 관계자는 “정책 당사자인 청년세대들과 지자체가 미래사회 정책을 함께 만들어가는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며 “청년들도 단순히 자신의 요구가 반영된다는 것을 넘어 공공성을 공부하고 익혀나가면서 본인이 시민이 돼 가는 과정을 함께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청년정책을 장기적인 시각으로 바라보고 진행하고 있다.

2016년도부터 5년간 청년 종합지원책을 담은 ‘청년정책 기본계획(2020 서울형 청년보장)’을 추진하고 있다. 설자리(청년활동 지원), 일자리(청년뉴딜일자리), 살자리(청년1인가구 주거지원), 놀자리(청년활력공간) 등 4개 분야 20개 정책이 골자다. 서울시는 이들 사업을 수개년간 내실 있게 추진해 청년 자립을 유도하고 희망을 키워간다는 계획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서울시 청년정책은 청년들이 주도해서 만들어 나가고 시는 이를 적극적으로 뒷받침 하는 역할에 충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양승민 기자 sm1004y@cctoday.co.kr

홍서윤 기자 classic@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