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상안 공개·후보지 선정 등 속도, 330만㎡ 부지 2022년 건립예정
정부 5개년계획·지역공약 당위성, 기술융합환경 등 혁신거점 최적지
후보지 검토 국토부 용역 등 과제

“세종시는 4차 산업혁명 시대 요구에 부합하는 신(新) 산업입지의 최적지다.”

대한민국 미래 신기술 산업 생태계 기반 마련의 혁신역량을 품고 있는 세종. 세종시가 국가산업단지(첨단 신소재·정밀부품 산업) 최적의 입지로 집중부각되고 있다. 세종 국가산단을 겨냥한 세종시의 특별한 움직임과 국가산단 조성 시나리오, 명분을 들여다본다.

◆세종 국가산단 속도

세종시가 국가산업단지 조성에 속도를 내고 있다. 국가산단 기본 개발구상안 전격 공개부터 후보지 선정을 위한 연구용역까지, 검증단계 수행 및 명분확보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세종시가 앞세운 국가산단 조성 시나리오를 보면, 4차 산업혁명의 실험·연구공간으로 조성되는 세종 국가산단은 330만㎡(100만평) 부지에 오는 2022년 들어선다. 세종은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신소재·정밀부품 산업중심 도시라는 게 대내외적인 평가. 세계적 혁신거점으로 평가받고 있는 ‘세종’ 국가산단 조성 성공여부에 비상한 관심이 쏠리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시는 정부 주도의 세종시 국가산단 조성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문재인 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 세종시 지역공약에 국가산단이 포함돼있는 것으로 안다. 세종시를 제외한 16개 광역자치단체에 국가산업단지가 입지해있다는 것도 주목할만하다”고 말했다.

이 같은 흐름 속, 시는 지역상생발전협의체 구성·운영, 국가산단 조성을 위한 개발방향 검토, 입주의향 기업 확보를 위한 수요조사, 국가산단 기본 개발구상(안) 마련 등 국가산단 조성 당위성과 구체적인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를 지속적으로 마련하고 있다. 특히 올해 상반기엔 시-한국토지주택공사(LH) 간 상호협력 및 공조체계를 강화하면서, 사업 타당성 분석 및 예비 타당성 조성을 위한 연구용역을 추진하겠다는 엄격한 시나리오를 짜놓은 것으로 확인됐다. 실질적 대한민국 행정수도, 국가균형발전 선도도시 위상에 부합하는 자족기능을 확보하겠다는 강력 의지로 풀이된다.

시 관계자는 “세종은 미래지향 도시인 행복도시와 주변지역 미래 선도산업으로 인해 세계적인 혁신클러스터가 형성될 수 있는 잠재력을 품고 있다”며 “스마트 시티, 스마트 워터시티, 자율주행 특화 도시 등 국책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혁신거점의 최적지”라고 강조했다.

◆명분

문재인 정부 출범과 함께 세종 국가산단 조성 명분이 동력을 얻고 있는 모습이다. 신 산업발전 및 균형발전 선도거점, 융합산업 육성의 최적지, 중부권의 신성장동력, 미래기술의 선도거점이라는 대내·외적 평가가 세종 국가산단 조성 명분으로 깊숙이 자리잡고 있다.

우선 광역적으로 대전 4차 산업혁명 특별시와 대덕 R&D, 청주(오송) BT, 천안·아산 IT집적지와 접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을 끈다.

기술융합을 위한 최적의 입지조건이라는 얘기다. 여기에 고급 인재와 R&D, 첨단지식산업 지방정착을 위한 최적의 도시환경을 지닌 국가균형발전의 선도도시라는 것도 국가산단 조성 또 하나의 명분으로 보태졌다.

◆세종을 주목하라

문재인 정부의 용단, 선제적 조치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세종시의 국가산단 조성 추진현황을 보면 장밋빛이지만, 현재로선 그 이행이 순조로울 것이라 속단할 수 없기 때문이다. 국가산단 후보지 검토 등을 위한 국토부 연구용역, 지자체 대상 설명회 개최 등 험난한 예정을 남겨두고 있다는 게 큰 부담이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수도권 집중분산과 국가균형발전을 목적으로 출범한 세종시가 오히려 수도권 인구가 아닌 주변지역 인구를 흡수, 지역 불균형을 초래하고 있다. 국가산단 조성을 통해 미래 행정수도로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야한다”면서 “세종이 지닌 혁신 잠재력을 새로운 국가발전으로 이끌기 위해선 4차 산업혁명 시대 요구에 부합하는 신 산업입지 공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세종은 혁신도시와 함께 지방을 이끄는 핵심동력으로서 세종시-혁신도시 거점 간 연계를 통한 국가 미래신기술 산업 생태계 기반 마련이 가능한 도시다. 또 세종시의 중앙행정기능, 국책연구기관, 대덕 과학기술 R&D 혁신역량을 활용해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