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충청권에서 5인 이상 근로자를 둔 기업들이 올 1분기 동안 3만2670명을 채용할 계획이라고 한다. 결코 적지 않은 규모다. 지역별 채용계획을 보면 대전 8175명, 세종 939명, 충북 1만969명, 충남 1만2587명 등이다. 관건은 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만큼 인력을 뽑을 수 있느냐다. 인력을 구하려고 해도 정작 응시자가 없어 인력확충을 못하는 경우가 꽤 있기 때문이다.

청년들은 일자리가 없다고 아우성인 반면 기업들은 직원을 확보하지 못해 여간 힘든 게 아니라고 한다. 산업계에서 이런 일자리 미스매치 현상이 일어난 건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충청권 5인 이상 고용 기업들의 지난해 하반기 미충원 인원이 무려 1만명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들은 사람을 채용하고 싶어도 일을 하겠다는 사람이 없어 심지어 기계를 놀리는 곳도 있을 정도다.

대졸이상 실업자 수가 50만명을 넘어섰다. 이중 상당수는 청년층이다. 청년층 실업률이 높은 이유는 고학력자들의 구직 눈높이와 깊은 연관이 있다. 학벌만 생각하고 웬만한 중소기업은 외면하다보니 일자리 미스매치가 심화되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중소기업이 전체 사업체 수의 99%와 고용의 88%를 차지한다. 중소기업이야말로 우리경제를 견인하는 근간인 셈이다.

일자리 미스매치를 풀어야 청년실업 문제의 물꼬가 트인다. 대기업 취업이 바늘구멍임에도 대기업만 바라보는 구직자들이 있다. 눈을 돌리면 괜찮은 중소기업을 얼마든지 찾을 수 있다. 구직자들의 인식개선 노력이 긴요하다. 물론 대기업과 중소기업 사이에는 임금, 복지 등 고용환경에서 큰 격차가 나는 것이 사실이다. 산업연구원은 중소기업의 평균임금이 대기업보다 40% 가량 적다고 밝혔다.

고용노동부는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보고서에서 인문·사회계열을 중심으로 대졸자들의 일자리 미스매치 양극화는 지속될 것으로 예측했다. 그렇다면 대책을 세워야 한다. 노동시장 양극화의 가장 큰 요인으로 지목되는 임금격차부터 점차 해소해야 한다. 지자체의 역할도 빼놓을 수 없다. 부산시가 '부산형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 종합대책'을 마련해 일자리 미스매치 극복에 나선 건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