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아웃렛 '상생' 해법은] 
부산, 대규모점포 86.9% 관리
대전, 34.6%… 실적 63억 차이

슬라이드뉴스3-아울렛.jpg
▲ ⓒ연합뉴스
<속보>=최근 부산시에서 ‘대규모점포 지역기여도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대전시도 대상 점포 확대를 비롯한 가이드라인 상향 조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17일 대전시와 부산시 등에 따르면 각 시에서는 지역 내 영업 중인 대규모점포들이 지역과 상생할 수 있도록 대형 유통기업, 소비자단체, 유통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유통업상생발전협의회를 운영해 매년 지역기여도를 발표하고 있다.

대전의 경우 2014년 전국에서 가장 먼저 대규모점포 지역기여도 실적을 발표했으며, 부산도 2015년부터 시행 중이다. 현재 부산의 경우 유통산업발전법에서 정한 대규모 매장 점포(3000㎡ 이상)는 모두 161곳으로 나타났다. 부산은 전체 대규모점포 중 140곳(86.9%)이 지역기여도 관리대상으로 지정돼 있다. 반면 대전의 경우 대규모점포 전체 52곳 중 18곳(34.6%)만이 관리대상이다.

부산과 대전은 공통적으로 백화점과 대형마트를 지역기여도 참여 관리 대상에 포함시키고 있으며, 부산은 추가적으로 기업형 슈퍼마켓(SSM)까지 포함시키고 있다. 부산의 관리 대상 중 눈여겨 볼 점은 대전지역 관리대상에서 전무한 ‘전문점’과 ‘복합쇼핑몰’, ‘쇼핑센터’까지 포함된다는 점이다. 부산은 전문점 8개 중 1곳, 쇼핑센터 12개 중 5곳, 복합쇼핑몰 3개중 1곳까지 지역기여도 관리대상에 포함시켰다.

관리 대상 규모가 다르기 때문에 실적 또한 큰 차이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공익사업 참여실적에서 부산은 올해 지난해와 비교해 28.6% 늘어난 119억원의 공익사업 참여 실적률을 보였다. 반면 대전의 경우 공익사업 참여실적이 올해 56억 6000만원으로 전년도 57억 3000만원 보다 하락했다.

물론 대전과 부산은 대규모점포 수와 매출규모, 소비자 수 등 유통환경에서 다소 차이가 있지만, 대전이 지역기여도 가이드라인을 전국에서 가장 먼저 시행했다는 점에서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기업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다른 지역보다 지역기여도 가이드라인을 높게 잡았고, 대기업과 소통채널을 강구하기 위한 자리도 지속적으로 마련 중”이라며 “최근 소상공인지원단 등 신설부서도 발족했다”고 설명했다. 대전시 관계자는 “부산시에서는 3가지 지표만을 두고 지역기여도를 조사하고 있기 때문에 각 항목의 종합적 구성으로 봤을 땐 대전도 결코 뒤떨어지는 것은 아니다”라며 “대규모점포들이 지역과 함께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지속적으로 마련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정훈 기자 classystyle@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