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청주시가 'KTX 오송역 명칭개정 추진위원회’를 공식 출범하고 본격적인 개명 작업에 착수했다. 2014년 7월 개명을 추진하다 오송읍 주민들의 반발로 무산된 뒤 이번이 두번째다. 때문에 지역 주민의 반발을 최소화하고 청주시민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역명을 정하는 게 추진위에 부여된 가장 큰 숙제로 평가된다.

문제는 단순히 역명을 바꾸는데 머물러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국내 유일의 고속철도 분기역으로써 국가 X축 고속철도망의 중심역이자, 세종시 관문역의 역할을 다하고, 85만 청주시의 위상에 걸 맞는 역명을 정해야 하는 이유다. 무엇보다 KTX 세종역 신설 움직임과 맞물려 있다는 점에서 세종시민이 공감하고 정부세종청사 공무원까지 아우를 수 있는 역명을 정하는 게 급선무이다.

사안이 발생할 때마다 개명을 반복할 수 없는 만큼, 백년대계를 내다보고 상징성 있는 역명을 정해야 하는 것도 추진위에 부여된 책무이다. 영종도에 건설한다고 해서 영종도공항으로 계획했던 인천국제공항의 선례도 참고해 볼만하다. 서울시가 2014년 김포공항을 서울공항으로, 최근 들어 포항시가 적자공항의 오명을 떨치기 위해 포항공항을 포항·경주공항으로 개명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것도 눈여겨 볼 대목이다.

무엇보다 전국 44개 고속철도역 가운데 9번째로 많은 연간 600만 명 이상이 이용하는 오송역이 지역경제 활성화의 견인차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주민과 학계, 시민사회단체 등 각계의 의견은 물론 여론조사와 공청회 등 충분한 논의를 거쳐 역명을 결정해야 한다. 오송역이 명실상부한 국내 유일의 분기역으로써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철도르네상스의 주역인 시민들도 모든 지혜를 짜내고 힘을 보태야 한다.

개명 못지않게 역세권 개발사업도 시급히 이뤄져야 한다. 해마다 이용객이 늘어나고 있는데 제때 인프라를 갖추지 못한다면 지역발전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청주시와 충북도는 개명 작업과 함께 경향각지를 오가는 승객들이 역사와 주변을 이용할 수 있도록 유통·관광·금융·의료 서비스 등의 인프라 구축에도 발 벗고 나서야 한다. 그래야만 청주국제공항의 하늘 길과 고속철도가 충북의 변화를 주도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