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튬이온전지 고가·단명 단점, 마그네슘 친환경·안전성 높아

한국연구재단은 충남대학교 송승완 교수 연구팀이 “자원 매장량이 풍부한 마그네슘을 기반으로 마그네슘이온전지를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음극 소재를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현재 상용되는 리튬이온전지는 리튬 가격이 비싸고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해야 하며 짧은 수명과 폭발 위험성 등의 단점이 있다.

반면 마그네슘이온전지는 마그네슘을 구하기 쉽고 리튬이온전지보다 상대적으로 안전하며 친환경적이고 단위 부피당 에너지 밀도가 높으므로 차세대 에너지 저장장치로 주목받고 있다. 마그네슘이온전지는 리튬 대신 마그네슘 관련 소재를 사용하는 이차전지다. 마그네슘 가격은 리튬의 4%, 이론적 단위 부피당 에너지 밀도는 리튬이온전지의 1.7배로 알려져 있다.

그동안 마그네슘 금속을 음극으로 사용하는 마그네슘메탈전지는 리튬이차전지에서와 같이 염과 유기용매로 구성된 전해질을 사용하면 상온에서 작동이 어렵고, 특정 용매에서는 60~100℃의 고온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한계가 있었다. 이는 전해질 성분이 마그네슘 금속 음극 표면에 두꺼운 부도체 표면층을 형성하고 결국 전지의 작동을 중단시키기 때문이다.

8면.jpg
▲ 송승완 충남대교수
연구팀은 마그네슘 기반의 이차전지 구현을 위해 기존 마그네슘 금속 음극의 한계를 극복하고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마그네슘-주석(Mg2Sn) 합금 음극 소재를 개발하고, 고용량 충전·방전 성능을 획득했다. 마그네슘-주석 합금은 마그네슘의 삽입·탈리 반응을 기반으로 하는 신개념 음극소재로서, 전기화학적으로 쉽게 산화되는 종전의 마그네슘 메탈 음극과 달리 충전·방전시 전해질 사이에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마그네슘-주석 음극은 여러 양극 소재와의 조합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마그네슘이온전지 제작이 가능하고, 음극을 제조할 때 전기전도도, 용량, 출력 등을 조절할 수 있어 전지의 성능향상도 가능하다. 송승완 교수는 “이 연구는 마그네슘-주석 음극 소재를 상온에서 작동하는 마그네슘이온전지에 적용한 최초의 사례”라며 “탈(脫)리튬 차세대 이차전지 분야의 새로운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연구 의의를 설명했다.

홍서윤 기자 classic@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