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고]
오 제 세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청주 서원)

지역경제 활성화 차원의 청주국제공항 발전을 위해서는 청주공항을 모(母)기지로 신청한 저비용항공사(LCC)에 대한 면허발급이 시급히 이뤄져야 한다.

한화그룹이 대주주인 ‘에어로K’는 지난 6월 청주공항을 근거지로 하는 항공운송면허를 신청했다. 국토교통부는 사업자가 면허를 신청하면 50일 이내에 허가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는 규정을 어겨가면서 두 차례나 결정을 연기했다. 이후 지난 9월부터 3차례의 비공개 간담회를 열고 기존 항공사, 신규면허 신청 사업자의 의견을 청취했으나 아직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기존 저비용 항공사의 기득권을 보호하기 위한 눈치를 보기 때문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현재 국내 6개 저비용항공사 중 독립형 회사는 제주항공, 티웨이항공, 이스타항공 등 3곳이다. 진에어, 에어부산, 에어서울 등은 대한항공의 사실상 자회사다. 따라서 대기업의 압력(?)을 의식해 미루는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다.

또 하나의 이유는 청주공항을 거점으로 하는 항공사가 사업성을 확보하기는 힘들 것이라는 점을 들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8개 국적 항공사는 지난해 367대의 비행기로 1억 391만명, 대당 28만 3000여 명을 분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비행기 1대당 중국 15만 9516명, 일본 14만 4165명, 베트남 26만 9053명, 인도네시아 16만 3056명 등과 비교해도 훨씬 많은 숫자다. 우리나라 인근 단거리 취항국들보다 훨씬 많은 숫자로 신규 항공사가 진입해도 수익성에 문제가 없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항공운송 여객 시장 포화로 인한 과당경쟁으로 인한 수익성 저하 우려는 기존 대형항공사의 이익을 독점적으로 보호하려는 것이 아니냐는 의구심이 들게 하고 있다.

청주공항은 세종시의 관문공항이자 중부권 거점공항이다. 청주는 물론 세종, 대전·충남권, 경기 남부권, 경북 북부권에서 이용이 편리한 국제공항임에도 노선이 다양하지 않은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돼 왔다.

특히 우리나라는 관광 수요 증대로 국내선 수요가 충분히 존재해 다른 교통수단과 가격경쟁력을 갖추면 신규 창출할 수 있다. 동남아 단거리 국제 노선 해당 국가의 경제성장으로 성공 가능성이 충분하다.

특히 사드 문제로 인한 중국과의 갈등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면서 관광객의 폭발적 유입이 예고되고 있다. 개항 20년만인 지난해 청주공항이 흑자를 기록한 것은 중국관광객에 따른 것이다. 물론, 청주공항을 근거지로 하는 저비용 항공사의 실패를 경험한 적이 있다. 지난 2005년 8월 청주-제주 구간으로 첫 운항을 시작한 한성항공은 김포-제주 구간으로 노선을 넓히면서 성장하기 시작했으나 2008년 적자누적으로 운항을 중단한 적이 있다. 하지만 청주공항 활성화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지금이 최적기로 상황이 달라졌다. 저비용항공사 유치로 인해 관광객과 항공수송이 늘어나 지역경제활성화에 큰 도움이 기대된다.

청주공항 활성화는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이기도 하다. 청주공항 문제는 충북의 관광 및 경제활성화와 직결된 것으로 이를 통해 지방 균형발전, 국토 균형발전을 실현해야 한다. 특히 충북도를 비롯한 지방자치단체의 의지와 노력이 전제돼야 한다. 온 도민이 힘을 모아 KTX 오송역 유치 성과를 거둔 것처럼 저비용항공사의 설립을 꼭 이뤄내야 하는 이유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