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호일 청주시문화산업진흥재단 사무총장
[목요세평]

얼마 전부터 이 땅에서 '문화융성'이란 단어 자체가 사라져 버렸다. 지역문화는 앞으로 어떤 비전을 가져야 할까? 최근 전국적으로 모든 도시들이 문화도시를 추구하면서 경쟁적으로, 문화적으로 행복하고 즐거운 곳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이지만, 블랙리스트라 불리는 부끄러운 사건으로 융성한 문화를 향유하려는 지역사회에 찬물을 끼얹었다. 광역단위와 대도시 위주의 문화정책, 획일화된 기준의 '지역문화진흥법' 그리고 사회적 양극화로 인해, 이제 막 꽃을 피우려는 '지역특성 전통문화'와 지역생활문화에까지 영향을 줬다. 부정과 부패가 문화 분야에까지 파고들어 썩었던 모습을 보니 한숨만 나오는 것이 현실이다. 사실 돌이켜 생각을 해보면 '문화가 돈이 된다는 것'은 몇몇 사람들의 생각이었고 욕심이었던 20여 년 전부터 문화는 어쩌면 병들기 시작했는지도 모른다. 이른바 소위 한류(韓流)를 하면서 남의 문화는 무시하고, 우리 문화만을 주장 또는 강요하며 아울러 십대후반의, 한창 배우고 익혀야 할 아이들을 '아이돌'이라고 칭하면서 무대 위로 끌어들여 돈벌이에 연연한 그 인연들이 문제의 사람과 회사들이 아니었던가. 이 모든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 시민, 지역민에게 돌아왔다.

그야 말로 돈에 속고 정부의 홍보에 속은 것은 아닌가. 이런 점에서 평생을 문화 분야에서 일해 온 필자도 '나는 과연 책임이 없는가.' 되돌아보게 된다.

더욱 중요한 것은, 내가 지역문화 분야에서 '지역의 경쟁력'을 키우고 청주라는 '도시의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업무에 있어서 '외지인'이라는 이유 하나로 괜한 질투로 시기하는 자들의 눈치나 보거나 토착적 지역통치구조의 특정한 개인이나 집단에 휘둘려 행동하지는 않았는지, 그리고 ‘나 자신에게 주어진 본분을 다하고 있느냐'라는 것이다. '최순실'이 가져온 '문화붕괴'의 핵심 요소는, 문화체육관광부 장관과 차관 등 고위 공직자들까지도 부패에 동참해 저지른 악행으로서의 예산배분이다. 그 결과로 국가와 재벌 대기업 동맹형태로 지역문화말살을 가져왔다. 지역문화와 지역인재의 문화 예술적 기회 박탈과 창작기회를 무자비하게 뺏어갔다. 그들은 지자체의 자생적 문화원형적 자원들을 묵살하고, 부정부패를 위한 신생기업에 지원을 몰아줌으로써, 예술적이고 자유로운 문화시민의 나라사랑과 지역사랑에 대한 미래의욕마저 상실하게 했다.

지금이라도 우리는 예측가능한 문화정책을 펼침으로써, 지역민들에게 문화가 미래에 대한 상상력과 기쁨을 만드는 토대가 되어야만 한다. 지역문화의 목표는 '시민을 기쁘고 즐겁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우리와 지역을 사랑하는 시민들의 일상생활에서 진정한 행복을 제공하기 위한 일이 되어야만 한다. 왜, 이 나라는 정치가 경제의 발전에 발목을 잡으며, 경제가 문화를 돕지 못하는 걸까?

이러한 서울과 광역시 중심의, 콘텐츠 공급자 혹은 정책입안자 중심의 관점에서 시작되는 부패의 관행이 지역에서 수용자적 입장에서는 더 이상 확산되지 않도록 하려는 노력이 필요한바 바로 이러한 노력의 핵심단어는 '지역중심'과 자성(自省)이 아닐까 싶다. 우리가 누리고 발전시킬 모든 문화 혹은 문화적 행위의 시작과 끝은 지역이 될 수밖에 없으며, 자성은 잘 알다시피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의심과 추론을 통해 불합리하거나 비합리적인 관행들, 문화행정들에 대해서 수술을 해야 함을 뜻한다. 이를 통해 우리는 중앙이나 타 도시와 비교하지 않는 순수 청주만을 위한 문화정책을 만들어야 하지 않을까. 이것이 지역문화융성의 시작이고 끝이다. 이제 시민으로 부터 나오는 새로운 방식의 '융성한 문화생활'이 가능하기 위해 몇 가지 논의가 필요하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