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7년 ‘생명과학단지’ 지정
보건의료 6대 국책기관 입주
제2생명과학·첨복단지 조성
기대 달리 지정취소 등 갈등
청주·세종 생활권 … 인구유출
KTX오송역 사실상 경유지

글싣는 순서
<上> 오송개발이 더딘 이유
<下> 재설정 필요한 사업 방향

슬라이드뉴스1-오송.jpg
▲ ⓒ연합뉴스
청원군(현 청주시) 오송읍 연제리와 만수리 일대 463만㎡(140만평)가 1997년 국가산업단지로 지정되면서 바이오 산업의 메카로 거듭날 것이라는 기대를 불러 일으킨 지 벌써 20년이 흘렀지만 오송개발은 여전히 지지부진하다.

세종시를 인근에 둔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인구늘리기도 벅차다. 더욱이 추가 산업단지 구역 지정과 관련한 주민 반발, 오송 첨복재단에 대한 국정감사에서의 지적 등이 이어지면서 오송의 가능성을 바라보는 시선도 곱지 않다. 충청투데이는 오송의 현재와 방향을 짚어보는 시간을 마련했다. /편집자

오송 신도시에 대한 개발계획이 나온 지 무려 20여 년이 지났지만 '재산권 침해' 논란과 부족한 정주여건 등으로 인해 오송 개발은 지연되고 있다.

이 같은 상황 속에서 충북도는 산업단지 추가 조성을 통한 발전을 모색하고 있지만 가능성에 대한 의문은 여전하다.

오송은 1997년 '생명과학단지'로 개발안이 수립된 후 463만㎡가 국가생명과학단지로 지정돼 개발이 시작됐다. 이후 식품의약품안전처, 질병관리본부 등 보건의료 6대 국책기관이 입주하면서 탄탄대로를 걷는 듯 보였다.

또 지방산업단지로 오송제2생명과학단지가 2010년 개발되기 시작하고 제1생명과학단지 내에 첨단의료복합단지를 따로 조성했다. 더욱이 인근에 KTX오송역, 세종시 등이 자리 잡고 산업단지 조성에 투자된 비용만 해도 1조 5580억원에 육박해 인구만 7만~10만 명에 이르는 산업도시가 될 것이라는 기대를 불러일으켰다.

그러나 정주여건과 주변 도심 지역과의 격차 등으로 인해 입주민 부족, 잇단 개발사업구역지정 취소와 정주여건 등으로 인해 주민 갈등은 여전하고 인구도 늘지 않고 있다.

실제, 오송의 현재 인구는 2만 2000여 명으로 생명과학단지가 조성되기 전인 2001년 1만 1000여 명보다 1만여 명 증가하는데 그치고 있다. 주민들의 생활권이 청주와 세종에 있다 보니 오히려 인구를 빼앗기고 있는 모양새다.

이에 지역주민들이 나서 역세권 개발을 추진했으나 궁평리 일대가 개발행위제한구역으로 지정되며 반발에 직면했다. 주민들의 반발이 이어지자 도는 심의위원회를 열어 개발행위제한구역을 해제할 것으로 알려졌다. 투기 방지 목적으로 제한구역을 지정했으나 주민들의 반발이 이어지자 민간 자본의 투입을 허용한 것이다.

오송역은 국가 물류의 X축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으나 사실상 경유지에 머물고 있다. 역이 지역의 발전보다는 인근 지역 주민들의 교통수단에 불과하다는 설명이다.

도는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제3생명과학단지 국가산업단지 조성과 MICE(기업회의, 포상관광, 국제회의, 전시회) 산업 등을 추진하고 있으나 도시 자체적인 발전을 이끌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앞서, 2곳의 산업단지가 국가·지방 산단으로 조성됐음에도 답보상태를 면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제3생명과학단지는 1000만㎡(300만평)의 대규모 부지에 조성돼 10여 년의 기간을 필요로 하고 그간 인구유출을 막을 묘안도 없어 세종시와 청주시내로의 유입은 계속될 전망이다.

산업단지의 분양현황은 제1생명과학단지 100%, 제2생명과학단지 83%, 첨복단지 64%로 높은 수치를 보였으나 입주한 기업은 79%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에 지난 달 열린 오송첨복재단을 대상으로 한 국정감사에서도 첨복단지에 대한 분양률, 장비 가동률이 50% 수준에 머무는 데 대한 질타가 이어지기도 했다.

도 관계자는 "제3생명단지의 조성과 MICE 산업 등 역세권을 중심으로 한 개발이 이뤄지면 민간자본의 유치와 함께 인구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며 "산업단지 포화 상태가 빚어지고 있는데다, 대통령 공약으로 추진되는 만큼 내실 있는 산단 조성과 정주여건 개선을 통해 오송 발전을 이끌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임용우 기자 winesky@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