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우리나라의 장기 및 인체조직 기증자가 꾸준히 늘고 있다니 희망적이다. 장기 기증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그만큼 높아졌다는 반증이다. 문제는 장기 기증자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이식받고자 하는 환자가 워낙 많아 실제 이식으로 이어지기까지 장기간 대기해야 한다는 점이다. 많은 환자들이 이식을 기다리다 소중한 목숨을 잃고 있는 실정이다. 장기기증 활성화가 그래서 시급하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신장, 간장, 췌장, 심장, 폐 등의 장기기증자는 2013년 2422명에서 매년 증가해 지난해에는 2865명으로 늘었다. 뼈, 피부, 혈관과 같은 인체조직 뇌사 기증자도 2013년 128명에서 지난해 157명으로 증가했다. 하지만 장기나 인체조직을 이식받고자 대기하는 환자에 비해서는 턱없는 수준이다. 이식 대기자는 2013년 2만6036명에서 지난해에는 3만286명으로 급증했다.

우리나라의 장기이식 의술은 세계적으로 정평이 나있다. 뇌사자 한명의 장기로 환자 4~5명을 살린다고 한다. 하지만 이식할 장기가 없어 대기하다 사망한 환자가 최근 5년간 6000명에 달할 정도다. 하루 3.2명꼴로 장기가 없어 이식 대기 중 숨져가고 있는 것이다. 이러다보니 불법장기 매매 얘기도 떠돈다. 중국 등 외국으로 나가 장기이식 수술을 하고 돌아오는 환자도 꽤 있다고 한다.

해답은 장기기증 활성화에 있다. 우리나라 인구 100만 명당 뇌사 기증자는 9.96명이다. 장기기증 선진국인 스페인 36명, 미국 28.5명, 이탈리아 22.5명 등과 견줘 현저히 낮다. 게다가 장기기증을 신청했음에도 실제로는 뇌사자 4명 중 한명정도만 기증이 이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뇌사자의 장기를 적출하려면 유가족 등의 동의를 얻어야 하나 유가족 동의율이 28%에 그치고 있어서다.

장기기증 사실을 가족들이 모르면 고인의 뜻과 달리 선뜻 동의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을 것이다. 가족들이 기증서약 사실을 알고 있을 경우 동의율은 무려 20배 가까이 높아진다는 조사도 있다. 그러고 보면 기증서약 못지않게 기증여부를 가족에게 알리는 게 매우 중요하다. 당국도 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한 홍보에 적극 나서야 한다. 장기 기증자가 우대받을 수 있는 제도적 뒷받침도 필요하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