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민 주도 소규모 사업방식 추진, 수주 가능성 높아
효율적 추진위한 ‘전문적 디벨로퍼’ 참여 필요 주장도

문재인 정부의 역점 정책 중 하나인 ‘도시재생 뉴딜사업’이 본격화하면서 지역 건설사들의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도시재생 뉴딜사업이 지역민 주도 소규모 사업방식으로 추진되면서 대형 건설사보다는 지역에 거점을 둔 중소 건설사 등이 사업을 수주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12일 국토교통부 등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달 말 도시재생 뉴딜 시범사업을 확정했다. 정부는 올 연말까지 전국 70곳에 시범사업지구를 확정하고 본격 사업을 추진한다.

도시재생 뉴딜사업은 기존 철거나 정비방식이 아닌 주민이 원하는 도로나 주차장 등 소규모 편의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핵심이다. 또 지자체와 주민이 사업을 주도하고 중앙정부가 적극 지원하는 소규모 지역주도 방식이다. 이런 방식으로 추진되다 보니 지방에 위치한 건설사나 건자재 등의 업체들이 사업에 참여할 공산이 크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실제 한 증권사 애널리스트 리포트를 통해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경우 대형 건설사들이 수혜를 기대하기 힘들 것이란 전망을 내놨다. 이에 반해 지역 중소 신탁사, 에너지 관련 업체, 폐기물 처리 업체 등이 수혜를 입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특히 지역에 거점을 둔 중소형 건설사를 비롯해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함께 사업을 추진하는 중견 건설사들에게도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개정으로 단독시행사로 정비사업 참여가 가능해진 신탁개발사업 업체도 도시재생 뉴딜사업 수혜를 볼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가운데 사업이 효율적으로 추진되려면 전문적인 디벨로퍼 참여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최근 펴낸 ‘도시재생 뉴딜정책의 최근 동향 및 향후 과제’ 보고서에서 지역 여건에 맞는 사업모델을 수립하고 관리할 수 있는 전문 디벨로퍼의 참여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냈다.

도시재생 사업이 제대로 진행되려면 기존 법제에서 관련 근거를 찾을 수 없는 세밀한 영역까지 지역 여건을 고려해 사업모델을 구체적으로 수립해야 비용의 효과성을 달성할 수 있다.

중앙정부나 지자체 공무원이 지역의 모든 여건을 진단하고 효율적인 사업모델을 수립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라고 진단했다.

지역의 한 건설업체 관계자는 “사업의 특성상 소규모로 개발이 이뤄질 가능성이 높은 만큼 지역 건설사들이 물량을 수주할 가능성이 크다”며 “사실상 업계의 대부분이 중소 건설사인데 수주가 늘어난다면 오랜 기간 침체했던 건설 시장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조재근 기자 jack333@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