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형식 충북본사 취재2부장
[데스크칼럼]

청주시 '신재생에너지화 및 하수 슬러지 감량화 시설'이 준공 후 3개월여 만에 가동이 중단됐다.

시는 2012년 환경부의 공모사업에 선정돼 사업을 진행했다. 사업비는 국비 116억 4000만원, 도비 27억 9300만원, 시비 77억 5000만원, 기금 10억 9800만원 등 232억 8100만원이 투입됐다. '신재생에너지화 및 하수 슬러지 감량화 사업'은 분뇨 등의 하수슬러지를 소화조에 있는 혐기성균의 먹이로 제공하고, 혐기성균이 하수슬러지를 소화하면서 발생하는 메탄가스로 보일러를 가동하는 신공법이다. 신공법에 위험이 따르는 것은 당연하다. 경험과 사례가 없으니 참고할 부분도 없다. 특히 환경사업의 경우 토목, 건축과 달리 예산 투입 대비 효과를 장담할 수 없는 것이 사실이다.

그렇다고 이번 시설 가동중단에 무조건 면죄부를 줄 수는 없다. 현재까지 밝혀진 바로는 청주시의 오판이 가동중단의 원인이라는데 무게가 쏠리고 있다.

이번에 도입된 '열가수분해+고효율혐기성 소화공법'은 나름 장점을 갖고 있다. 공법 설계대로 작동된다면 다른 공법보다 슬러지 감량율이 좋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 비슷한 공법인 중온소화공법의 슬러지 처리기간이 30일인데 반해 17.5일로 짧은 것도 이점이다. 다만 pH농도, 온도 등의 조건에 아주 민감해 환경에 따라 효율의 변동성이 높은 것은 단점으로 꼽힌다.

청주시는 지난 4월 13일 시설 준공 후 위탁운영과 직접운영 중 직접운영을 선택했다. 위탁운영은 안정적인 운영, 직접운영은 예산절감의 장점이 있다. 청주시가 직접운영을 선택한 것이 잘못된 판단이라고 할 수는 없다. 가동중단만 없었다면 훌륭한 예산절감 사례로 꼽혔을 것이다.

장점과 단점이 뚜렷하다면 장점은 살리고 단점은 철저한 준비를 통해 보완했어야 한다. 청주시의 오판은 여기에 있었다.

청주시는 불과 5개월여간의 공동시험운영을 통해 기술습득을 한 후 직접운영에 나섰다. 운영요원들도 모두 전문가가 아니었다. 전 청원경찰, 운전직 등 비전문가가 포함됐다. 매일 이뤄졌어야 할 수질분석도 비정기적으로 이뤄졌다. 분석결과를 놓고 종합적인 판단을 할 총괄관리자도 없었다.

자신이 가진 역량에 대한 객관적 분석, 충분한 준비없이 예산절감이라는 목표를 향해 ‘무모한 도전’에 나선 결과가 ‘가동중단’으로 돌아온 셈이다.

청주시가 이런 오판을 내린 원인은 너무나도 간단하다. ‘소통부재’가 그 원인이다.

청주하수종말처리장은 시설 특성상 외곽에 위치해 있다. 68명의 인원과 500여억 원의 예산을 하수처리과장이 독립적으로 관리한다. 소왕국과 마찬가지다. 특히 시설직의 특성상 상급자의 판단에 하급자들이 이의를 제기하기는 어렵다. 하수처리과를 관장하는 환경관리본부장은 대부분 행정직이 맡아왔다.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보고대로 할 수밖에 없다. 하수처리과장 개인의 판단만으로 사업이 결정될 수밖에 없는 구조다.

이번 가동중단으로 인해 신공법 도입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이 확산돼서는 안 될 것이다. 신공법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늘어날수록 기술개발은 요원해진다. 단, 청주시도 교훈을 얻어야 한다. 한 사람의 오판만으로 사업이 실패할 수 있다는 경험을 했다. 이제 이런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시스템의 개선이 이뤄져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