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구주 중위 연령 51.3세
70세 이상 비중 가장높아
다문화가구 첫 30만 돌파

혼자 사는 1인가구가 한국에서 가장 흔한 가구로 자리 잡으면서 평균 가구원 수가 꾸준히 줄고 있다.

고령화가 계속되면서 1인가구주는 70세 이상의 비중이 가장 컸고, 전체 가구주의 나이도 1년 전보다 0.5살 많아졌다. 저출산의 영향으로 미성년 자녀가 있는 가구의 비율도 줄었다. 다문화가구는 꾸준히 증가해 처음으로 30만을 넘어섰다.

3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6 인구주택총조사'를 보면 작년 한국의 평균 가구원 수는 2.51명으로 전년보다 0.02명 줄었다. 평균 가구원 수는 1995년 3.40명이었다가 2005년 2.88명으로 2명대로 떨어지고서 작년까지 감소세가 멈추지 않고 있다.

작년 주된 가구유형은 1인가구로 전체 가운데 27.9%인 539만8000 가구였다. 1년 전과 비교하면 0.7%포인트(p) 증가했다. 주된 가구의 유형은 1995·2000·2005년 조사 때 4인가구, 2010년 2인가구였다. 하지만 2015년부터 1인가구로 변화했다.

1995년 12.7%로 가장 비중이 작았던 1인가구는 2005년 20.0%로 20%대에 진입하고서 꾸준히 늘어 30%에 육박하게 됐다. 작년 2인가구는 전체의 26.2%(506만7000가구), 3인가구는 21.4%(415만2000가구), 4인가구는 18.3%(355만1000가구), 5인이상은 6.2%(120만 가구)였다.

지역별로 보면 읍·면 지역의 1인가구 비율은 30.6%로 동지역(27.2%)보다 3.4%포인트 높았다. 1인가구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강원(32.1%)이었다. 가장 낮은 곳은 경기(23.8%)였다. 1년 사이 증가율이 가장 높았던 곳은 세종·충북(1.5%포인트)이었다. 1인가구의 가구주의 연령대는 70세 이상이 17.8%로 가장 비중이 높았다. 이어 30대(17.6%), 20대(17.2%) 순이었다.

남성은 30대(22.7%), 여성은 70세 이상(27.7%)에서 비율이 높았다.

거처 유형별로 구분해 보면 1인가구는 주로 아파트(27.9%)와 다가구 단독주택(27.3%)에서 거주했다. 일반단독주택은 14.8%였다.

일반가구는 1936만8000가구, 집단가구(남남끼리 사는 6인 이상 가구)는 1만3000가구, 외국인가구(외국인으로만 구성된 가구)는 45만7000가구였다. 전체 가구주의 중위연령(연령별로 나열할 정중앙에 있는 사람에 해당하는 나이)은 51.3세로, 전년보다 0.5세가 높아졌다.

연령계층별로 보면 40대 미만 가구주는 1인가구, 40대는 4인가구, 50대는 3인가구, 60대 이상은 2인가구에서 각각 많았다. 여성 가구주 비율은 30.0%로 전년보다 0.4%포인트 증가했다. 65세 이상 고령자가 있는 가구는 507만2000 가구로 일반가구의 26.2%에 달했다. 전년보다 2.9% 증가한 수치다.

다문화가구(혼인 관계의 외국인이나 귀화한 사람이 있는 가구)는 31만6000가구였다. 1년 전보다 1만7000(5.6%) 증가했다. 다문화가구는 외국인과의 결혼(결혼이민자)으로 구성된 가구가 11만6000가구로 가장 많았다. 이어 내국인과 귀화한 외국인으로 이뤄진 가구가 7만8000가구로 뒤를 이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