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교육부가 어제 발표한 201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개편 시안을 둘러싸고 의견이 분분하다. 수능 개선안의 골자는 절대평가 범위를 어디까지 확대하느냐로 요약된다. 교육부는 일부 과목만 절대평가로 전환하는 1안과 전 과목을 절대평가로 바꾸는 2안을 동시에 내놨다. 교육부는 오늘부터 대전 등 4개 권역별로 공청회를 거친 뒤 오는 31일 최종안을 확정할 계획이라고 한다.

2021학년도 수능은 국어, 수학, 영어, 한국사, 통합사회·통합과학, 탐구, 제2외국어(한문) 등 7개 영역에 걸쳐 치러진다. 7개 영역 가운데 영어, 한국사, 통합사회·통합과학, 제2외국어(한문) 등 4과목을 절대평가로 바꾸는 것이 1안이다. 모든 과목을 절대평가로 바꾸는 것은 2안에 해당한다. 1안과 2안의 가장 큰 차이점 중 하나는 국어와 수학 과목을 지금처럼 상대평가로 유지하느냐이다.

수능 절대평가 단계적 도입(1안)이냐 전면도입(2안)이냐를 놓고 여러 추측이 난무했었다. 교육계, 학부모들 마다 견해가 엇갈린다. 1안, 2안 모두 장·단점이 있다. 절대평가 단계적 도입은 변화의 폭이 상대적으로 작아 적응할 시간적 여유가 있다. 반면 학생들이 상대평가 과목만을 집중적으로 공부할 가능성이 있다. 절대평가 전면도입은 수능부담을 줄여 학교교육의 정상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장점으로 꼽힌다. 하지만 학력저하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만만찮다.

대학입학생을 뽑는 시험을 놓고 상대평가와 절대평가 두 가지 평가 잣대를 들이대는 것이 과연 옳은지도 의문이다. 과목에 따라 평가 방식을 달리하면 교과 간 형평성 논란이 불거질 소지가 있다. 수능 절대평가는 문재인 대통령의 핵심 교육 공약이다. 문 대통령은 후보시절 수능을 절대평가로 전환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그럼에도 교육부가 두 가지 안을 내놓은 걸 보면 미칠 파장을 고려하지 않았나 싶다.

2021학년도 수능은 현재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이 첫 대상으로 이들에게는 발등에 불이 떨어진 셈이다. 어떤 제도를 막론하고 완벽한 것은 없다. 그렇다면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효과는 극대화하는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 입시방식이 조변석개(朝變夕改)식으로 바뀔 때마다 엄청난 혼란을 초래하지 않았나. 교육전문가와 교육주체들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해 다수가 공감하는 대입제도를 마련해주기 바란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