끊임없이 문제 … 애초 ‘무리한 사업?’
공사중 보일러 설비 수차례 문제
혐기성균 소화조 효율성 떨어져
신공법 첫도입 … 유사 사례 없어
시, 환경부에 보고조차 하지않아

이미지박스2-청주시청.jpg
▲ 사진 = 충청투데이 DB
<속보>= 준공 후 3개월 만에 가동이 중단된 청주하수처리장의 '신재생에너지화 및 하수 슬러지 감량화 시설'이 공사기간에도 끊임없이 문제가 발생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또 애초 공법에 대한 신뢰성이 완벽하지 않은 상황에서 무리하게 대규모로 시설이 건립됐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8일자 1면 보도>

8일 청주시에 따르면 2012년 실시설계가 완료된 '신재생에너지화 및 하수 슬러지 감량화 시설'에 대한 공사는 2015년 3월 시작됐다. 공사기간 중 공정의 핵심시설인 보일러 설비에 수 차례 문제가 발생했다. 공정 중 보일러는 하수슬러지 감량화 시설에 열원을 제공한다.

이 열원은 혐기성균에 의해 발생되는 메탄가스로 만들어진다. 하수슬러지의 온도를 높여 혐기성균의 먹이로 제공하고, 여기서 발생한 메탄가스를 소모하는 필수 중간과정이 보일러인 셈이다.

보일러 성능에 문제가 발생하자 감리단은 지난해 3월 보일러를 재설치해 줄 것을 요청했다. 같은 해 6월에는 보일러 간 이격거리를 어긴 것이 드러나 에너지관리공단으로부터 설치검사 부적합 판정을 받기도 했다. 이로 인해 지난해 7월 1차로 납품기한이 연장됐다.

그럼에도 보일러의 불완전 작동이 계속되자 시는 지난해 12월 이행율 90%인 상황에서 보일러 시설 설치에 대한 계약을 해지했다. 성능보증 시운전에 들어간 올해도 보일러는 계속 오작동을 일으켰다.

지난 1월에는 보일러의 실화 반복으로 가동이 정지되기도 했다. 공사기간 문제가 지속됐던 하수 슬러지 감량화 시설은 지난 4월 준공 후 한달여 만에 혐기성균이 사멸되며 효율 저하를 불러왔고 끝내 가동 중단에 이르렀다.

이 시설의 가동이 전면 중단되면서 관련 업계에서는 애초 무리한 사업이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혐기성균을 이용하는 소화조는 1990년대에 유행했지만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에 따라 사실상 사장됐다.

하지만 환경부의 정책변화에 따라 다시 부활했고 시는 환경부의 공모사업에 선정됐다. 이후 ‘열가수분해+고효율혐기성 소화공법’이라는 신공법을 도입해 시설을 건립했다. 문제는 이 공법이 국내에서 처음 도입됐다는 점이다.

환경부의 ‘공공하수도시설 설치사업 업무지침’에 따르면 국내에서 1년 이상 운영실적이 없는 공법을 도입할 경우 성능확인이 가능한 최소규모의 시설을 시범 설치해 성능확인을 실시한 후 전계열로 확대 설치하도록 돼 있다. 성능확인의 주체는 지방자치단체다.

시가 이 지침을 따랐다면 2개의 소화조 중 1개만 설치해 성능을 확인한 후 추가로 1개를 도입했어야 한다. 청주시와 공법사가 원인파악에 애를 먹고 있는 이유도 국내에 유사한 운영사례가 없기 때문이다.

특히 이 시설의 가동중단에 대해 청주시는 환경부에 보고조차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관계자는 “가동중단 소식을 듣지 못했다”며 “환경부는 하수슬러지 저감사업이라는 목적을 위해 국비를 지원한 것으로 공법이나 시설구성은 지자체의 역할”이라고 밝혔다.

심형식 기자 letsgoh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