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충청권을 동서로 잇는 충청산업문화철도(충청선) 조기 착공을 촉구하는 관련 5개 지자체장의 행정협의회가 발족됐다. 보령, 부여, 청양, 공주, 세종시 조치원을 연결하는 총 89.2㎞노선으로 총 사업비 1조8760억원이 투입되는 대규모 국책사업이다. 충남 서해안→백제문화권→실질적 행정수도인 세종시를 관통하면서 국토의 동서 교류 허브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충남의 오랜 숙원 사업인 만큼 사업 추진의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충청선 구상의 역사는 깊다. 1999년 '21세기 국가철도망 구축 기본계획'에 포함됐음에도 우선순위에서 번번이 밀렸다. 지난해 6월 '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추가 검토사항'으로 포함됐으며, 2017년 3월에는 대선후보 공약에 반영됐다. 그러다가 지난 19일엔 새 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에 포함돼 그나마 천만 다행이다. 그러나 안심할 수가 없다. 충청지역민의 기대감과 더불어 조기 실현을 위한 동력 확보에 나선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다.

충청 횡단 철도를 건설할 경우 엄청난 파급효과가 뒤따르게 돼 있다. 단순히 서해 관광 자원과 백제문화 교류차원에 머물지 않는다. 결국 충청선은 충북선, 태백선으로 강원권과 연결되고, 경부선이나 호남선으로도 연계되는 구도이다. 국토의 사방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산업과 문화를 융·복합하는 산업 연관 효과가 가히 상상을 초월한다. 지방 소멸시대를 극복하고 국토균형발전정책을 선도하는 SOC 사업으로도 손색이 없을 것으로 본다.

이젠 우리나라의 철도사업을 포함한 국토개발정책이 산업화와 수도권 일극 중심 정책으로 인해 남-북이라는 종적 시스템에만 집착해왔던 종전 스타일을 탈피할 때도 됐다. 국토 동-서 축에 대한 새로운 접근의 필요성이 어느 때보다도 강조되고 있다. 사람 중심의 지방분권 및 국토균형발전을 도모하는 투자가 절실한 시점이다. 궁극적으로는 문재인 정부의 정책과도 맥이 닿는다는 점을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충청선을 관철시키려면 우선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해야만 한다. 이를 충족시키지 못하면 또 다시 이 사업이 표류할 수 있다. 첫째 경제성을 고려해야 하지만 정책적 요인과 지역균형발전 등의 요인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해둔다. 예타 통과를 위한 각 주체별 사전 역할 분담 및 지역역량의 총결집에 나서야 하겠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