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세종특별자치시(세종시)가 오늘 착공 10년을 맞았다. 지난 2007년 7월 20일 첫 삽을 떴던 한적한 시골마을은 이제 대한민국의 행정 중심지가 됐다. 그리고 세계적인 명품도시 건설을 향해 행보를 착착 진행하고 있다. 신행정수도 위헌 결정이 난 뒤 행정중심복합도시로 바뀌는 등 여러 우여곡절을 겪은 터라 감회가 더 새롭다. 이제 세종시의 완벽한 행정수도 완성에 진력해야 할 때다.

세종시를 보면 상전벽해(桑田碧海)란 말이 떠오른다. 허허벌판에 공공청사, 아파트, 상가 등이 빼곡히 들어섰다. 중앙행정기관 등 정부기관 55곳이 이전했고, 주택 약 10만 가구가 들어섰다. 세종시 출범당시 10만명에 불과하던 인구는 현재 26만명을 넘어섰다. 시 재정규모도 1조5000억원으로 2배 성장했다. 세종시는 개발이 완료되는 2030년에 인구 80만명이 거주하는 도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행정기관 이전과 기반시설 조성을 바탕으로 한 1단계 개발사업을 2015년 마치고 지난해부터 2단계 개발사업이 추진 중이다. 2단계 개발사업의 핵심은 자족기능 확충이다. 병원, 학교, 문화시설 같은 것들이다. 세종시 거주자들은 기반시설 미흡을 가장 불편한 점으로 꼽는다. 기반시설이 잘 갖추어져야 모범적인 자족도시다. 2단계 사업이 잘 마무리돼야 마지막 3단계 세종시 완성으로의 연착륙이 가능하다.

실질적인 행정수도 건설이라는 큰 과제가 남았다. 국정기획자문위원회는 어제 발표한 문재인 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에서 세종시를 명실상부한 행정도시로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은 후보시절 국민의 뜻을 물어 행정수도 개헌을 추진하고, 세종시를 행정수도로 완성하겠다는 공약을 제시한 바 있다. 세종시=행정수도라는 공식이 성립할 수 있도록 후속조처를 차질 없이 추진해주기 바란다.

우선 중앙행정기관의 추가 이전을 서둘러야겠다. 미래창조과학부와 행정자치부는 더 이상 미적대지 말고 조속히 이전해야 한다. 국회분원 설치를 위한 인프라 구축도 긴요하다. 국회분원이야말로 새 정부가 역점 추진하는 지방분권의 상징이다. 세종시가 대한민국의 행정중심도시로 자리매김했다면 이제는 행정수도로서의 위상 정립에 고삐를 바짝 죄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