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즈마 시운전 최고 기록 뺏겨, 중국 10년간 과학인재 집중 투자
반면 한국은 인력부족 문제 심각, 차세대 에너지원… 국가지원 절실

한국 핵융합에너지 연구 주도국 자리가 위태로워지고 있다. 국가 미래 에너지를 책임질 핵융합 분야 전문인력 양성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세계 각국은 깨끗하고 지속가능한 핵융합에너지를 인류가 찾는 궁극의 에너지로 보고 상용화 연구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핵융합에너지는 태양이 에너지를 내는 원리인 핵융합 반응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땅 위의 인공태양 기술로 불린다.

자원이 무한한 데다 이산화탄소 배출도 없고 원자력보다 방사성 위험에서 안전하다는 점에서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꼽힌다. 우리나라는 선진국보다 최소 수십년 늦게 핵융합연구를 시작했지만 발전 속도는 놀라울 정도다. 순수 독자기술력으로 한국형초전도핵융합연구장치(KSTA)를 만들어낼만큼 단기간에 성장해 현재는 주도국으로 올라선 상태다. 그러나 이제껏 우리나라가 쌓아온 핵융합연구 주도국으로서의 입지는 조금씩 흔들리고 있다.

다른 나라와 비교해 연구인력과 투자가 부족한 탓이다. 단적으로 지난해 우리나라 국가핵융합연구소는 한국형초전도핵융합연구장치(KSTAR)에서 세계 최초로 72초까지 고성능 플라즈마를 발생시켰는데, 불과 1년여만인 지난 3일 중국과학원이 이 기록을 훌쩍 뛰어넘는 101.2초 시운전에 성공했다.

일각에서는 이를 중국이 10년간 우수과학인재 1만명 유치라는 만인(萬人)계획 아래 핵융합연구에도 전폭적으로 투자했기에 이룬 결과로 해석한다. 핵융합 연구 인력만 봐도 우리나라와의 차이가 현격하다. 지난해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개발사업 회원국현황을 보면 중국 2177명, 일본 684명, 미국 3128명, EU 3128명인 반면 한국은 323명에 그친다. 이제부터라도 전문인력 양성을 시작하지 않으면 더 이상 연구자들만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얘기다.

김기만 국가핵융합연구소장은 “현재는 우리나라가 핵융합연구 선두에 서 있지만 이대로라면 서서히 주도권을 뺏길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현장에서 핵융합 전문인력 부족 문제는 이미 피부로 다가올만큼 심각하다. 현재 우리나라는 유럽연합,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인도와 핵융합 상용화기술 확보를 위해 프랑스에 ITER를 공동건설 중이다.

ITER 건설에 얼마나 많은 전문인력을 보내 기술을 확보하느냐가 향후 핵융합에너지 상용화 선점을 가를 관건인데 상황이 낙관적이지만은 않다. KSTAR를 운영할 인력도 턱없이 부족한 상황에서 ITER 기구에 무작정 대규모 인력을 보내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국내 대학에서 빠져나오는 핵융합 전공 인력을 수용할 문도 좁아 국가 차원의 단계적인 인재양성 계획 마련이 요구된다.

핵융합분야 한 연구자는 “10년 내로 궁극적인 목적인 실증로 만들기를 시작하려면 핵융합 전문인력 선순환 체계 구축이 급선무”라고 말했다.

홍서윤 기자 classic@cctoday.co.kr

표-◆ TER 회원국 핵융합 연구 인력 현황(미래부 제공)

구분 한국 EU 중국 미국 일본
인력(명) 373 3,128 2,177 1,416 684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