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지방이전 공공기관들이 지역인재 채용에 매우 인색한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정부 때부터 지역 균형발전을 도모코자 공공기관을 전국에 분산 배치했고, 지역인재를 채용하도록 권고했다. 지방이전 공공기관이 이전의 효과를 거양하려면 지역인재를 채용해야한다는 판단에서다. 하지만 지방으로 이전한 뒤 지난해 해당 지역 출신을 채용한 공공기관 가운데 지역인재 채용비율이 30%를 넘는 곳은 5곳 중 1곳에 그쳤다.

공공기관 경영정보 정보공개시스템인 '알리오'는 지난해 정규직 기준으로 지역인재를 채용한 공공기관 76곳 중 지역인재 비중이 30% 이상인 곳은 16곳이라고 26일 밝혔다. 앞서 국회 예산결산위원회 김도읍 의원은 지방으로 이전한 공공기관의 최근 3년간 지역인재 채용 비율이 12%에 불과하다고 밝힌 바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방의 혁신도시로 이전한 공공기관에 대해 올해 하반기부터 30% 이상 지역인재를 채용하도록 지시한 데는 이런 기저가 깔려있다.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에 관한 법률'은 공공기관으로 하여금 신규 채용 인원의 35% 이상을 지방대학 학생 또는 졸업생으로 채용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수도권 지역 대학이 아닌 지방에서 공부를 한 지역인재를 채용토록 한 것이다. 하지만 지역인재 채용이 의무가 아닌 권고수준에 그치다보니 공공기관마다 채용실적이 들쭉날쭉한 실정이다. 지역인재 채용 실적이 10%에도 못 미치는 곳이 수두룩하다.

얼핏 보면 지역인재 채용이 수도권에 대한 역차별 같지만 내면을 뜯어보면 전혀 그렇지 않다. 지역균형 발전은 수도권 비대화에 따른 불가피한 조처다. 수도권 과밀화에 따른 부작용은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다. 돈과 사람이 수도권에 집중돼 극심한 양극화현상을 불러왔다. 최소한 지역의 인재가 지역의 공공기관에서 실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문호를 개방해야 마땅하다.

공공기관 뿐만 아니라 민간 기업도 지역인재 채용에 인색해선 안 된다. 지방대를 나왔다는 이유로 차별을 하거나 받아서는 곤란하다. 지역의 인재가 지역 발전을 견인하는 선순환구조가 확립돼야 한다. 그러려면 채용기관의 인식의 전환이 요구된다. 필요하다면 지역인재 채용 의무화도 고려해 봄직 하다. 그것이 바로 새정부가 추구하는 지방분권의 출발점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