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유성복합터미널 사업 표류는 대전도시공사와 대전시의 무소신 행정의 표본인 것으로 거듭 확인되고 있다. 사태가 이 지경이 되도록 제대로 관리하지 못한 결과에 대한 책임론이 제기되는 건 당연하다. 투명하고 공정한 행정절차에 따랐느냐는 원론적인 문제로부터 상황파악 및 위기관리, 대안 마련, 재발방지대책에 이르기까지 지방행정 시스템에 대한 총체적 불신을 토로하는 목소리가 비등해지고 있다.

대전구청장협의회에서 어제 제기된 내용에서도 사안의 심각성이 그대로 드러난다. 현안 사업에 대한 대전시와 구청간의 소통부재가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꼽혔다. 롯데컨소시엄에 대한 협약 해지 사실을 언론보도를 통해 인지하게 됐다는 불만이 터져 나왔다. 대전시마저도 그 인지 시점에 대해서 석연찮은 반응을 보였다. 도시공사와 대전시 간의 채널에도 고장 나 있었다는 방증이다. 도시공사의 비밀주의와 무사 안일한 업무행태에다 대전시의 불통이 문제라는 진단이 틀리지 않는다.

대전시 현안 사업에 의구심을 자아내는 것도 바로 이러한 연유에서다. 엑스포 재창조 사업의 랜드마크인 사이언스콤플렉스 조성사업이 예정대로 추진되고 있느냐는 물음으로 이어진다. 당초 과학벨트 원안 수정의 대가로 정부가 지원키로 한 건립비용을 싸고 줄다리기로 사업진척이 늦어지다가 우여곡절 끝에 민자 사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또 다시 착공일이 올 7월에서 연말로 늦춰지고 있다. 신세계 측에서 제출한 제안서의 일부 내용이 변경되면서 착공시기가 늦춰졌다는 게 대전시의 해명이다.

유성구 용산동 현대아울렛도 착공을 위한 사전 행정절차가 진행되고 있는 상태다. 한때 특혜시비와 반발이 불거졌던 터라 이를 극복하고 늦어도 내년 초 착공이라는 원만한 결과를 이끌어 낼 것인지 관심사다. 대규모 민자 사업의 경우 지역사회로부터 사업의 타당성도 인정받아야 하지만 수익성을 창출할만한 투자 메리트가 보장되지 않으면 성사될 수 없다. 기업유치에서 유념해야 할 사항이다.

현안 사업에 대한 대대적인 점검이 필요하다. 진행 상황을 낱낱이 따져봐야 한다. 하수종말처리장 이전, 안산첨단국방산단 등 한 둘이 아니다. 제4차산업특별시 육성, 대전의료원 설립, 도시철도2호선 트램 조기 착공 등의 대선공약 사업도 마찬가지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